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d라이브러리
"
국내
"(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픔 줄이고 아기 낳는 법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보람은 크게 하는 다양한 분만법들이 어떤 원리로 시술되는지 알아보자.지난해 9월 21일
국내
최초로 한 대학병원에서 뮤지컬 배우인 최정원씨가 수중분만을 시도해 3.2kg의 건강한 여아를 출산했다. 그러나 이는 일반에 알려지지 않았고 올 1월에 공중파 TV를 통해 이때의 분만과정이 상세히 ... ...
2백살을 맞은 사나이(The Bicenntenial Man)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99년 크리스 콜롬버스가 감독하고 로빈 윌리엄스가 주연한 영화로도 제작됐다. 이 영화는
국내
에서 1월 말 '바이센테니얼 맨'(The Bicentennial Man)이라는 이름으로 개봉된다.'2백살을 맞은 사나이'는 '과연 인간이란 무엇인가,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가' 하는 화두를 무척 심도 있게 파헤쳤다. ... ...
도메인 네임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언론사와 대기업만 예를 들었는데, 벤처 기업을 중심으로 닷컴 명칭을 쓰는 곳은
국내
외를 가리지 않고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표 벤처 기업을 언급할 때 ‘닷컴 기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인터넷 비즈니스가 21세기를 이끌어갈 비즈니스로 인정받으면서 도메인 네임은 더 이상 ... ...
TV속의 초능력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된 CSICOP(웹주소: www.csicop.org)는 전 세계 70여 독립적 연계 단체의 중심역할을 맡고 있다(
국내
에서는 필자가 중심이 된 한국의사과학문제연구소(www.kopsa.or.kr)가 있다). 이들은 학자, 전문가, 그리고 뜻을 가진 젊은 층이 함께 모인 최고 수준의 학술적 비평단체이며 사회계몽단체의 성격을 띠고 과학의 ... ...
벤처의 출발점 자신을 못견디게 하는 그 무엇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바람의 아들은 매월 10억원의 매출을 올릴 만큼 대단한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현재
국내
에서 상용제품을 내놓고 있는 업체만도 15곳.그래서 게임시장을 영화시장 다음으로 큰 엔터테인먼트 산업이라고 한다.시멘텍의 성공은 하루 아침에 이뤄진 것이 아니다.스페이스 일루젼이 4명으로 팀웍을 ... ...
IMT2000 앞에 선 핸드폰의 운명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개인휴대통신(PCS)은 이동전화 시장의 또다른 견인차였다. 5사 경쟁체제로 돌입하면서
국내
이동전화시장은 황금기를 맞게 됐고, 이동전화가입자수는 순식간에 2천3백만을 육박하기에 이르렀다. 우리나라의 40여년 이동전화 역사를 살펴보며 우리가 주목할 점은 서비스의 진화 앞에서 이전 ... ...
포항공대 에이즈백신실험 성공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국내
에서 효과가 매우 높은 에이즈 백신물질이 개발됐다. 지난 12월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성영철 교수팀은 에이즈 백신물질을 개발, 이를 원숭이를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안전성과 효능이 뛰어남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성 교수팀이 만들어낸 백신물질은 최근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DNA 백신’. ... ...
파괴된 뇌세포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추측이 가능하다. 이식이 필요한 이유 한편 뉴런이 재생되는 보다 확실한 이유가
국내
학자에 의해 밝혀졌다. 1998년 연세대 의대 소아과의 박국인 교수는 뇌에 손상이 일어났을때 이를 회복시키기 위해 뉴런이 재생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박교수는 생쥐 대뇌의 좌우반구 중 한쪽에 뇌졸중을 ... ...
벤처기업가로 나선 이면우 교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이 교수는 말했다. ‘배가 산으로 가는’ 형국이 발생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왜곡된
국내
벤처기업 벤처기업을 해서 성공할 확률은 그리 높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벤처기업을 하겠다는 사람들이 줄을 선다. “요즘 벤처기업을 만들지 못하면 바보로 취급됩니다. ... ...
지구관측위성 아리랑1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남의 손에 맡길 수는 없는 노롯이다. 항우연이 아리랑 1호를 개발한 까닭은 멀리 보면
국내
위성뿐 아니라 외국의 위성까지 개발해 주겠다는 것. 연구역량은 선진국 수준이되, 연구원의 급여는 선진국의 절반도 안되는 것이 곧 경쟁력이다. 항우연은 앞으로 외국위성 개발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할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