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뉴스
"
컴퓨터
"(으)로 총 4,445건 검색되었습니다.
“네 말을 들으면 내 뇌의 ○○ 부위가 반응해”
2016.05.01
시간에 따라 기록한 뇌 영상 데이터를 라디오에서 흘러나온 어휘와 조합했다. 그리고
컴퓨터
알고리즘을 활용해 각 어휘를 유사도에 따라 분류해 색상으로 표시했다. 예를 들어 초록색은 시각이나 촉각과 관련 있는 어휘이고, 빨간색은 사회성과 관련돼 있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좌뇌와 우뇌의 ... ...
7200억 원 투입한 인공위성 ‘천리안 2호’ 조립현장 가 보니
2016.04.29
안정성을 한층 높인 부품을 새로 제작해 넣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공위성에 넣을
컴퓨터
시스템에 위성제어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뒤 오류를 검증하는 ‘소프트웨어테스트장치(STB)’도 위성 조립 전에 끝내야 할 필수 작업이다. 박 연구원은 “3가지 실험 모델을 하나로 합치면 우주에 ... ...
[비밀번호 톡톡]어머니에게도 ‘쉿’… 정맥 인식도 안심 못해
동아일보
l
2016.04.29
동아일보]《 우리는 매일 관문을 통과합니다. 그 관문은 아파트 현관문이나 사무실 문,
컴퓨터
로그인 화면일 수 있습니다. 영문과 숫자, 특수기호까지 섞은 비밀번호를 눌러 그 문을 열지요. 비밀번호에 대한 경각심은 최근 공무원 시험 준비생의 정부청사 침입 사건으로 부쩍 높아졌습니다. ... ...
‘방충제’ 나프탈렌으로 고부가가치 물질 합성
2016.04.28
방향성 고리 구조를 지니는 나프탈렌을 이용하면 인공 합성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합성법을 설계했다. 그 결과 안정성이 뛰어난 나프탈렌과 사이오펜을 서로 연결해 거대한 고리 구조를 만드는 방식으로 포피린을 합성할 수 있었다. 조 교수는 “구조를 바꾸기 ... ...
차세대 스마트폰용 ‘휘어지는 화면’ 만들었다
2016.04.27
인치 크기의 ‘대면적 고품질 그래핀 합성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TV나
컴퓨터
용 모니터에 쓰이는 디스플레이 연구는 오래 전부터 종이처럼 접거나 둘둘 말 수 있는 소재 개발에 초점이 맞춰졌다. 과거에는 주로 인듐 주석 산화물(ITO)이란 물질을 주로 이용했지만 소재의 한계성이 커 ... ...
‘지프의 법칙’ 얼마나 맞을까?
수학동아
l
2016.04.26
단어만 조사할 경우 법칙이 맞을 확률은 더 높아졌습니다. 연구진은 빅데이터와 방대한
컴퓨터
연산의 시대에 살면서 앞으로 지프의 법칙을 분석하는 데 더 큰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플로스원 1월 22일자에 실렸습니다 ... ...
차세대 ‘자성 메모리’ 개발 실마리 찾았다
2016.04.25
움직여 정보를 이동시킨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정보가 저장돼 있는
컴퓨터
하드디스크는 회전하면서 정보를 불러오거나 읽고 쓰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다. 물리적으로 디스크를 돌리는 데 많은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전류를 직접 쓰지 않고 ... ...
[토요판 커버스토리]가상화폐 어떤 게 있나
동아일보
l
2016.04.23
법적인 위상에 대한 논란을 빨리 정리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인호 고려대
컴퓨터
학과 교수는 “미국에서는 비트코인에 세금을 부과하는 등 가상화폐도 화폐로 인정하는 분위기”라며 “우리 정부도 판단을 무작정 보류할 게 아니라 산업 발전을 위해 하루빨리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 ...
[단독]옥시, 폐 손상 보고서 거부… 정부 “피해 5월 추가 접수”
동아일보
l
2016.04.23
방침을 바꾼 것이다. 피해 접수는 신청서와 함께 신분증 사본, 진료기록부, 엑스레이,
컴퓨터
단층촬영(CT) 등 의료기관 진단자료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 내면 된다. 정부는 다음 달부터 이뤄질 4차 피해 조사 대상자가 240여 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의 이런 결정은 살균제 업체들에 대한 ... ...
인공지능은 떡잎만 봐도 안다
과학동아
l
2016.04.22
구분해내기가 어렵다. 연구팀은 잎맥이 잘 보이도록 표백한 식물 잎사귀 7500장을 준비해,
컴퓨터
프로그램이 종마다 다른 잎맥 패턴을 학습할 수 있도록 했다. 월프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프로그램은 어떤 식물인지 알지 못했던 식물화석의 종류를 파악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며 “잘 알려지지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