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프렌즈] 99%를 100%로...과학계 논쟁 해결하는 과학자가 꿈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활동에 과학기사를 활용했다. 생명과학을 주제로 발표를 하는 활동에서 과학동아 2017년 11월호에 실린 기사를 활용했다. 생체시계의 원리를 규명해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과학자들의 연구를 주제로 발표했는데, 전교에서 이 주제로 발표한 사람은 김 군이 유일했다. 김 군은 “과학동아 기사에는 ... ...
- [매스크래프트] #13. 보신각 종을 꼭 닮은 통계학의 핵인싸 정규분포!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학생들의 원래 점수로 이뤄진 분포를 표준화해 정규분포로 만든 뒤 매긴 거랍니다. 1년 추가 연재 기념! 이번에 참여해주시는 분께는 퓨처킴이 준비한 선물을 드립니다. 새해와 관련된 작품을 만들어 보내주세요 ... ...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기자여서 그런 걸까요? 음알못에겐 무척 신기한 경험이었는데요, 과학×음악 콘서트는 1월 4일 유튜브 채널 ‘유못쇼’에 공개됩니다. 여러분에겐 어떻게 들릴지 궁금하네요.과학×음악 콘서트를 감상하고 감상평을 폴리매스 홈페이지 해당 게시판에 남겨주세요 ... ...
- 지구사랑탐사대·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생물종들의 활동을 찾아낼 수 있을까 싶었는데, 대원들이 매의 눈으로 찾아냈지요. 1월 15일부터 9기 모집이 시작되지만 8기 대원들의 탐사는 쭉 계속됩니다. 자, 겨울 탐사로 발견한 생물종 사진을 한번 볼까요? 어과동에는 작은 실천으로 지구를 구하는 영웅들이 많아요. 이 작은 영웅들은 ... ...
- [과학뉴스] ‘창어 5호’, 달의 흙을 가지고 지구 복귀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창어 5호는 11월 24일 중국 하이난성 원창 우주발사장에서 우주로 발사된 뒤, 12월 1일 달 표면에 착륙했어요. 그리고 19시간의 작업 끝에 달 표면의 바위와 흙 등의 표본 약 2kg을 채취했답니다.창어 5호 착륙선에는 표본 채취 작업을 위한 카메라, 레이더, 드릴, 삽 등이 탑재돼 있어요. 중국국가항 ...
- [이달의 과학사] 1863년 1월 10일 세계 최초의 지하철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맡아야 하는 건 물론이고요. 그럼에도 지하철은 대성공이었어요. 첫날에만 4만 명, 이후 1년 동안 약 950만 명의 승객이 지하철을 이용했어요. 지금은 지하철이 전 세계 대도시의 훌륭한 교통수단이 되어주고 있답니다 ... ...
- [과학동아 천문대] 이달의 우주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매년 1월 초에는 3대 유성우 중 하나인 ‘사분의자리 유성우’가 찾아와요. 올해에는 1월 3일에서 4일로 넘어가는 새벽에 가장 많은 별똥별이 떨어질 예정이지요. 별똥별은 실제로 별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에요. 혜성이나 소행성 등에서 떨어져 나온 티끌이나 우주 먼지 등이 지구의 중력에 끌려 ... ...
- 50년 동안 풀리지 않은 단백질 퍼즐, AI가 풀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거죠?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50년동안 풀리지 않은 단백질 퍼즐, AI가 풀었다Part1. 단백질 퍼즐 맞추기, AI가 대신한다! Part2. 단백질 구조 예측, AI는 어떻게 했을까? Part3. 코로나도 물리칠까? 단백질 구조 예측, 이렇게 쓴다 ... ...
- [과학뉴스] 공전주기 1만 5000년 외계행성 존재… 태양계 9번째 행성 힌트 될까과학동아 l2021년 01호
- 2004년과 2017년에 촬영한 HD 106906 b의 위치를 기준으로 행성의 공전주기가 1만 5000년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HD 106906 b와 중심별인 쌍성계와의 거리는 지구와 태양 거리의 737배에 달했다. 일반적으로 행성과 중심별과의 거리가 멀수록 행성의 공전주기가 길다. 태양계의 경우 모든 행 ...
- [인터뷰] “한반도 백악기 지층은 세계 최고의 화석 산지…1억 년 전 동물 생태 생생히 복원”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화석층은 화석의 양과 질, 다양성, 보존 상태 모두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특히 약 1억1000만 년 전 백악기 지층인 ‘진주층’은 피부 흔적이 보존될 정도로 화석의 보존 상태가 우수하고 미국에서 가장 화석이 풍부한 지층보다도 더 다양한 화석이 발견된다”라고 극찬했다. 또 “국립자연유산원 ... ...
이전3443453463473483493503513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