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홍수
대수
d라이브러리
"
큰물
"(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3 기후와 토양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기후와 토양은 바늘과 실의 관계. 기온과 수분양은 전혀 다른 흙을 만들어 낸다.세계의 곳곳을 여행하거나 영상매체를 통해 이국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늘어나면서, 이제는 '아마존'하면 수목으로 빽빽이 들어찬 열대우림의 정글을, '케냐'하면 얼룩말과 기린이 풀을 뜯고 있는 사바 ... ...
나에게 꼭 맞는 칫솔 치약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주먹구구식으로 칫솔과 치약을 선택하는 시절은 이제 지나갔다. 연령별로 치아상태별로 각기 다른 용품을 골라야 한다.구강내에서 발생하는 질환들이 7백여종이나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으로 많이 발생되는 질병이 치아우식(충치)과 치주병(잇몸병 또는 풍치)이다.치아우식은 우리가 먹는 음식중 ... ...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심각한 상태에 이른 수질오염과 대기오염을 생물공학기술로 씻어낼 수 있다. 이 방법은 마치 보약처럼 생태계에는 거의 부담을 주지 않는다.우리 인류는 지구상에서 과학기술문명을 발전시켜 풍요하고 편리한 삶을 살고 있다. 이러한 산업의 발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과거에는 심각하게 느끼지 못 ... ...
규슈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비교적 고위도 지방임에도 불구하고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원숭이가 살고 있다는 것은 일본열도가 남쪽에서 북상해 왔으리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규슈(九州)는 섬나라 일본에서 세번째로 큰 섬이다. 전체 면적은 4만4천3백79㎢로 일본 총면적의 약 11.4%를 차지한다. 일본열도의 4대 ... ...
황천과 지상을 잇는 죽음의 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하얀 눈이 내리는 겨울엔 하얀 별빛이 유난히도 밝게 빛나는 것처럼 보인다. 다들 계절에 비해 밤이 긴 계절, 대기가 불안정해 별빛이 더욱 반짝거리는 계절, 하지만 다른 어느 계절보다도 밝은 별들이 많이 모여 있어서 별들이 제일 밝게 보이는 계절이 바로 겨울이다. 따라서 겨울은 맨눈으로 별을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효소관련 세계시장은 70조원에 이르고 있다. 이 바이오테크놀로지의 신병기는 활동영역을 빠르게 확대시키고 있는데…유전공학 실험실에서는 수시로 대장균을 대량배양한다. 이때 최소배지(포도당과 소금 등 몇가지 무기염류로 구성)라는 영양배양액을 만들어서 그 곳에 대장균을 접종하고 37℃에 ... ...
'파이어니어'와의 안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지난 1992년 10월 8일 목요일은 지구를 위해 가장 열심히 일하고 충성스럽게 금성의 궤도를 순회하던 파이어니어 12호라는 종이 사라진 날이었다. 이 인공위성은 1978년 12월 4일 금성의 궤도로 진입한 이래 줄곳 자료를 송신해 왔다.그러나 파이어니어 12호는 1961년 소련의 베네라 1호가 금성에 도착하면 ... ...
연료전지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이제 국내에서는 1KW급을 제작한 상태지만 미국 일본에서는 1만KW급이 넘는 초대형도 나와 있다.세계는 지금 큰 딜레머에 빠져 있다. 즉 산업화가 가속되면서 에너지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한정된 에너지를 절약하고 화석에너지 사용에 따른 환경 파괴로부터 지구를 보존해야 한다는 두가지 근본적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부지런한 농부처럼 바다 밑바닥 구석구석을 일구는 갯지렁이는 해양생태계의 환경미화원 노릇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바다 속의 생물로 물고기나 플랑크톤 같이 해수 중에 살고있는 것만 생각 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는 바다 밑바닥에 높은 밀도로 생물들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해저의 저서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생물 종들은 언젠가 멸망한다. 그 비워 놓은 자리에 새 종이나 새 무리들이 들어서는 자리바꿈의 형식으로 진화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공룡이 절멸한 것 자체는 크게 이상할 것이 없다.공룡 멸망의 원인설은 공룡의 명성만큼이나 풍성하다. 기후의 한냉화가 원인이었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더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