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당시 심하게 녹슬어 있었고, 목적과 기능을 쉽게 파악할 수 없었다. 그러다 2006년 11월, 발견한 지 105년 만에 영국의 천문학자 마이크 에드먼즈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그 기능과 사용법을 확인했다. 안티키테라 기계장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컴퓨터로 불리며, 과거에 우주의 흐름과 별의 ...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작품입니다. 훨씬 복잡한 뉴턴의 유율법은 역사의 기록으로만 남았습니다.미분과 적분의 발견은 수학은 물론이고 인류문명의 방향을 바꿔놓았습니다. 오랫동안 사람들은 움직이고 변화하는 현상을 어려워했습니다. 수학자들도 멈춰 있는 대상만을 연구했죠. 하지만 우주의 거의 모든 것은 움직이고 ... ...
- [지식]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수 없다. 대신 확률의 도움을 받는다. 수십억개의 문서를 바탕으로 특정 단어 나열이 발견되는 확률을 계산한 다음, 우연히 같을 확률이 높은 두 문장은 표절로 판단하지 않는다.표절 검사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기준은?표절 검사가 얼마나 정확한지는 재현율과 정확율로 판단한다. 정확율 = $\frac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항성계에 적용했다.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은 18세기 티티우스와 보데라는 두 천문학자가 발견한 법칙으로, 태양으로부터 태양계 행성들까지의 거리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규칙이다. 수열로는 아래와 같이 나타내고, 이를 ‘티티우스의 수열’이라 한다. 4 7 10 16 28 52 100 196 388 772…태양과 지구 ...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긴 쪽 나선을 관찰해 보면 시작점과 끝점이 하나의 세로선 위에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어요.다시 말해 하나의 긴 나선은 파인애플을 거의 정확히 한 바퀴 돌고 있다는 것이지요. 만약 파인애플의 몸통을 원기둥으로 생각한다면 옆면을 펼친 직사각형의 대각선이 하나의 긴 쪽 나선이 ...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DNA가 정말 필요 없는 것이라면 굳이 전사를 할 필요가 없다. 현재는 간섭 RNA(siRNA) 등이 발견되면서 RNA가 DNA와 단백질의 중간자 역할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여러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후성유전학자들은 염기 서열 길이에 따라 비암호화 RNA를 두 가지로 나눈다. 우선 ...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대신 식물에서는 RNA가 정자와 난자를 후성유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발견됐다. 예컨대 부모세대에서 어떤 특별한 경험을 하면 정자와 난자 주변에서 생식세포의 형성을 돕는 세포들의 RNA 조성이 바뀐다. 그중 크기가 작은 간섭RNA는 바로 옆의 생식세포로 넘어가 DNA의 발현을 조절한다. ... ...
- 9년의 기다림, 몇 초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왜행성으로 퇴출된 명왕성의 모습을 보면서 환호하고 있다. 탐사선에는 명왕성을 처음 발견한 클라이드 톰보의 유해 일부가 실려 있다. 그가 직접 이 모습을 봤다면, 과연 뭐라고 했을까.이제 뉴호라이즌 호의 임무는 태양계 외곽의 ‘카이퍼벨트’ 탐사다. 카이퍼벨트는 해왕성 바깥에 해당되는, ... ...
- 수백 년 도자기 묵은때 화학으로 벗긴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촘촘히 갈라진 무늬가 보일 때가 있습니다. 이를 빙렬이라고 하는데, 주로 청자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도자기의 성분에 따라 열팽창계수가 다르다 보니 건조 또는 소성 과정에서 표면의 유약층에 작은 금이 가게 됩니다. 빙렬은 그 자체로도 문제가 될 수 있지만, 특히 오염물이 끼게 되면 아주 보기 ...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물론 신약 개발까지는 최소 10년 이상이 걸리겠지만, 치료제로 쓰일 만한 물질을 발견했다는 것만으로도 큰 희망이죠.” 임 교수는 이보다 알츠하이머에 대한 우리나라의 고정 관념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임 교수가 유니스트에 오기 전 연구했던 미국 미시간주는 알츠하이머에 대한 인식이 ... ...
이전3443453463473483493503513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