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불가능하다. 그런데 여기 평범한 안테나 속에서 열정과 끈기로 새로운 학문의 씨앗을 발견한 사람이 있다. 칼 구스 잰스키가 통신 기술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건 대학을 막 졸업할 무렵의 일이었다. 당시 미국 오클라호마대 학장이었던 아버지는 아들에게 발전가능성이 큰 통신 분야를 소개하며 ...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작품입니다. 훨씬 복잡한 뉴턴의 유율법은 역사의 기록으로만 남았습니다.미분과 적분의 발견은 수학은 물론이고 인류문명의 방향을 바꿔놓았습니다. 오랫동안 사람들은 움직이고 변화하는 현상을 어려워했습니다. 수학자들도 멈춰 있는 대상만을 연구했죠. 하지만 우주의 거의 모든 것은 움직이고 ... ...
- [수학뉴스] 나 그렇게 뚱뚱한 공룡 아니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공룡은 실제보다 훨씬 무겁다고 소문이 났었습니다. 지난해 아르헨티나에서 뼈 화석이 발견된 드레드노투스입니다. 이 공룡은 목이 기다란 초식공룡으로, 지금까지 알아낸 육상공룡 중 가장 무겁다고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 몸무게가 부풀려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영국 생물학 ... ...
- [지식]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수 없다. 대신 확률의 도움을 받는다. 수십억개의 문서를 바탕으로 특정 단어 나열이 발견되는 확률을 계산한 다음, 우연히 같을 확률이 높은 두 문장은 표절로 판단하지 않는다.표절 검사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기준은?표절 검사가 얼마나 정확한지는 재현율과 정확율로 판단한다. 정확율 = $\frac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항성계에 적용했다.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은 18세기 티티우스와 보데라는 두 천문학자가 발견한 법칙으로, 태양으로부터 태양계 행성들까지의 거리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규칙이다. 수열로는 아래와 같이 나타내고, 이를 ‘티티우스의 수열’이라 한다. 4 7 10 16 28 52 100 196 388 772…태양과 지구 ...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훑어보세요. 가장 먼저 기둥없이 튀어나온 벽면이 그대로 지붕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어요. 분명 기둥이 없는데도 건물이 안정감있고 튼튼해 보여요. 어떻게 가능할까요?비밀은 건물 외벽 뒤에 숨어 있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와 ‘메가트러스 공법’에 ... ...
- 순간 포착! 아기별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원시별의 분출물이 사방으로 나오다가 위아래 두 방향으로 나오는 위치를 바꾸는 모습을 발견한 거죠. 파장이 매우 긴 전파를 이용해 1999년, 2005년, 2007년 세 번에 걸쳐 관찰한 결과랍니다.그 뒤 이 연구 결과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 한국, 미국, 멕시코 국제공동 연구팀이 만들어졌어요. 2014년까지 ... ...
-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봄이 되면 애벌레는 벌레집을 뚫고 나온답니다.또 땅에 떨어져 있는 구멍 뚫린 도토리도 발견했어요. 이 속에는 과연 무엇이 있을까요?“또…, 똥이 가득하다구요?”기자단 친구들은 도토리 안에 도토리바구미 애벌레의 똥이 가득하다는 설명에 깜짝 놀랐어요. 도토리바구미는 9월쯤 도토리 안에 ...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된다. 16세기 영국의 수학자 토마스 베이즈가 발표한 ‘베이즈 이론’은 새로운 사실이 발견됐을 때 어떤 사건이 일어날 확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려준다. 이 이론은 1950년대부터 의사가 질병을 진단하는 데 쓰였다. 예를 들어 전체 인구의 5%가 갑상선 질환을 앓고, 전체 인구의 10%는 불면증이라고 ...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밖에 새겨진 정보가 구체적으로 알려지고, 그것이 생명활동에 영향을 주는 메커니즘이 발견되면서 본격적으로 연구에 물꼬가 트였다. 이후의 성과는 눈부시다. DNA 메틸화, 히스톤 꼬리 단백질이 밝혀졌고 질병치료에도 활용 중이다. 지난 20년간 후성유전학의 발전을 다음 파트에서 직접 만나보자 ... ...
이전3443453463473483493503513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