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점"(으)로 총 8,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메드의 정체수학동아 l2011년 01호
- 보물을 찾는 데 필요한 중요한 단서를 숨긴 도형. 하지만 이 사실을 바르바리 해적선 선장에게 들키고 만다. 선장은 허풍을 위협해 단서가 가리키고 있는 곳을 알아낸다. 허풍과 도형은 바르바리 해적으로부터 무사히 벗어날 수 있을까?1 보물은 콘스탄티아에 있다?!“선생님, 여기가 ‘희망봉’이 ... ...
- 사이언스, 21세기 10년간 ‘10대 연구’ 선정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미국 과학저널 ‘사이언스’가 지난 10년간 과학계의 최대 연구성과 10가지를 선정해 발표했다. 먼저 생물학 분야에서 ‘인간 게놈의 90%를 차지하는 쓰레기(junk) DNA의 중요성’을 규명한 사실을 꼽았다. 2004년 미국 캘리포니아 공동유전체연구소 에드워드 루빈 박사팀은 쓸모없어 보이는 쓰레기 유 ... ...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우리나라에도 처음으로 신종 슈퍼박테리아에 감염된 환자가 나오면서 의료계에 비상이 걸렸다. 이번에 발견된 슈퍼박테리아는 강력한 최신 항생제에도 죽지 않을뿐 아니라 확산 속도가 빨라 의학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여러 종의 항생제에 듣지 않는 신종 다제내성균(일명 슈퍼박테리아) 감염 ... ...
-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 Q&A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지원자 상당수가 과학동아 독자부산에 있는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는 국내 최초의 영재고다. 2011학년도 입시에서는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144명의 신입생을 모두 선발했다. 입학사정관 전형을 100%로 확대하면서, 한편으로는 2단계 캠프전형에서 수학ㆍ과학 지필시험을 치러서 논란이 일기도 했 ... ...
- 아름다운 수학 선율, 노력하는 자만이 느낄 수 있다수학동아 l2011년 01호
- ‘Math is beautiful’이라는 말이 있다. 수학은 아름답다! 이 말에 공감하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세계가 인정하는 수학자라면 수학의 아름다움을 알지 않을까? 지난 11월 23일, 1994년 필즈상 수상자인 장 크리스토프 요코즈 교수가 한국을 방문해 서울에 있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찾아갔다. 수학의 아 ... ...
- Part 3. 수학올림피아드와 슈퍼스타K는 다르다?수학동아 l2011년 01호
- “간절함만큼은 언제나 1등이었다.” 슈퍼스타K2에서 윤종신이 허각에 대해 남긴 마지막 심사평이다. 수학올림피아드에는 이러한 간절함이 있을까? 간절함이 아니라면 수학스타를 만드는 요소는 과연 무엇일까?부모님이 정한 길S군은 중학교 때부터 잘 알려진 수학영재였다. 수업을 마치면 언제나 ... ...
- 낭만 올림피아드수학동아 l2011년 01호
- 수학올림피아드 문제에는 크게 세 종류가 있습니다. 재미있는 문제와 그저 그런 문제와 재미없는 문제가 있는 거지요. 싱거웠나요? 그렇지만, 학자의 가장 중요한 자질 중의 한 가지가 호기심인 이상, 어떤 문제 또는 주제가 재미가 있느냐 없느냐는 생각보다 중요합니다.여기서 그런 재미있는 문제 ... ...
- 화학이 사라지면 게임도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오늘은 꼭 세 번째 관문을 통과하고 말 거야!”학원에서 돌아오자마자 굳은 다짐과 함께 내 사랑 ‘넌텐도’의 전원을 켰어. 그런데 갑자기 엄마가 날 부르셨지.“맹구야, 이 뉴스 좀 봐라. 글쎄 2011년이 세계 화학의 해라는구나. 엄만 이제껏 화학이 이렇게 다양하게 쓰이는지 몰랐네~. 화학이 없 ... ...
- 수학의 여신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1년 01호
- 쭉 뻗은 다리와 예쁜 몸매로 ‘개그콘서트’의 ‘봉숭아학당’ 코너에 나오던 그녀. 하지만 그녀를 기억하는 사람들은 몇이나 될까? 혹시 ‘봉숭아학당에서 개그맨 허경환 백댄서로 나왔던…’이라는 수식어가 붙으면 기억이 나려나? 하지만 그녀를 단번에 떠올리게 하는 수식어도 있다. 바로 ‘ ... ...
- 추운 겨울 따뜻하게 보내려면?수학동아 l2011년 01호
- 흰 눈이 펑펑 내리고 기온은 뚝 떨어졌다. 본격적인 겨울이다. 목도리와 모자, 장갑등으로 매서운 추위를 대비한다. 혹독한 겨울을 좀 더 따뜻하게 보낼 수 없을까? 춥다고 느끼는 정도를 숫자로 표현한 체감온도를 높이면 추운 겨울도 따뜻하게 보낼 수 있다.탐험가의 도전으로 만든 체감온도에취~! ... ...
이전3443453463473483493503513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