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분야"(으)로 총 3,6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이것만은 꼭!’ ○ 한국뇌연구원 설립 ○ BT-NT-IT 연계한 뇌 융합연구 ○ 뇌 관련 BIO 분야 미래성장동력 창출 서유헌 단장은 1948년 출생 1981년 서울대 신경약리학 박사 1984년~1986년 미국 코넬대 교수 1992년~1993년 일본 동경대 의과학연구소 교수 1997년~1999년 강원대 의대 학장 2000년~2001년 ... ...
- “바이오기술 2012년까지 R&D 15%로 확대…”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명확한 상이 제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입주기 업을 분석해 보면 생물 분야 특허가 많지만, 오송단지의 육성 전략에는 반영되지 않았다”며 “아직 입주 기업간의 전략적 협력을 위한 방안조차 마련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병원과 의사를 유치할 계획은 구체화되어 있지 ...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국가 BT 입지 강화 ○ 통합관리 위한 국가유전체정보관리기관 설립 ○ BT 연구분야 우수 연구자가 모일 수 있는 핵심 연구사업 발족 김성진 원장은 1987년 일본 쓰쿠바대학교 응용생화학 박사 1987년~1994년 미국 국립보건원 암연구소 연구원 1994년~2007년 미국 국립보건원 암연구소 종신 수석연구원 ... ...
- 1억원짜리 독성시험 760만원에 해결...“효과적 지원이 신약사업 키운다”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신약개발전문가로 구성된 상임위원회를 구성하고, 논문(paper)과 특허(patent), 산업(product) 분야를 각각 분리해 지원하는 3P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문제점 넷… “신약개발의 마지막 단계, 임상시험 인프라가 취약하다” 우리나라는 임상시험 인프라가 취약한 만큼 연구개발 대행기관(CRO)을 ...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매년 의대에서 배출되는 수많은 연구 인력이 수요공급의 법칙에 따라 결국은 생명공학 분야에서 기초 연구 인력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 하지만 박 원장은 생명공학 안에서도 한쪽으로 치우치는 쏠림 현상은 경계했다. 그는 “기초 생물학 연구 인력이 최근 눈에 띄게 줄었다”며 ... ...
- “기반 기술 ‘나노’, 이제는 산업화에 주력해야”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정책을 개발하고, 그런 분위기가 형성되는 게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러면 나노 분야도 자연히 발전할 겁니다.” ●최만수 교수가 말하는 ‘나노기술’ 발전 방향 ① 산업체와 연구자가 ‘나노산업화’ 위한 협력 ② 정부에서는 산업체와 연구자 양쪽에게 동기 부여할 정책 개발 ③ 연구 장비의 ... ...
- “한국 나노산업엔 디딤돌 필요… 색다른 관점으로 상용화 이끌어야”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디딤돌이 되겠습니다.” ● 박종구 단장이 말하는 ‘나노과학’ 발전 방향 ① 다양한 분야가 융합해 색다른 관점 제시해야 ② 완성도-신규성-원천성 만족하는 기술 개발 ③ 원천기술을 상용화로 이끄는 별도의 플랫폼 필요 ... ...
- 나노 원천기술 개발 비결은? “공동연구가 해법이다”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이뤄져야. ② 출연연 나노기술 활성화를 위해선 융복합 연구 지원이 관건 ③ 생명과학분야 나노기술 연구 비율을 늘려야 ※ 이 시리즈는 지식경제부, 나노융합산업 통합정보시스템 나노인(www.nanoin.org)과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의 내용은 국가 과학정책 설립을 위한 ... ...
- 반도체, 새로운 혁신이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했다. 다른 어느 분야의 기술보다도 빠른 진보를 보인 반도체 분야의 혁신은 ‘무어의 법칙’이라는 이름이 붙을 정도로 오랜 기간 꾸준히 계속됐다. ‘무어의 법칙’이란 인텔의 공동창업자 고든 무어(Gordon Moore)가 주창한 것으로 ‘반도체의 트랜지스터 개수, 즉 기억용량은 1 ... ...
- 원자력硏, 전자빔 이용 나노입자 제조 장치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 방사선의 일종인 전자빔을 이용해서 현재 상용화된 화학적 나노입자 제조 공정보다 효율이 높고 친환경적으로 나노입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장치가 ... 인쇄 공정으로 대체 가능하다. 태양전지, 무선인식전자태그(RFID),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분야에 공정 절감을 가져올 혁신기술이다 ... ...
이전3433443453463473483493503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