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8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암 전이 일어나는 첫 단추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8
파란 구는 핵을 나타낸다. 주목해서 봐야 하는 부분은 붉은색 안개로 둘러쌓인
작은
녹색 파편 부위다. 붉은색 부위는 염증을, 녹색 파편은 다른 세포에서 들어온 DNA 조각을 나타낸다. 사무엘 백하움 미국 메모리얼 슬로운 케터링 암센터 연구원팀은 암 전이가 ‘소핵’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리에서 터전을 잃고 헤메는 표범을 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8.01.27
것을 확인했다. 특히 활동영역이 넓은 대형 포유류일수록 인간으로 인해 서식지가
작은
구획으로 쪼개져 충분한 삶의 영역을 확보하지 못하게 됐다고 분석했다. 마리 터커 괴테대 생물학과 연구원은 “각각의 종이 필요로하는 생활 터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며 “(당장 ... ...
하늘 날던 드론이 바닷속 잠수함으로 변신… 미리 엿본 드론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18.01.27
이 드론은 직경 50cm, 무게 4.8kg로 비교적 소형이지만 기능에 걸맞는 외형을 갖췄다.
작은
모형 잠수함에 공중비행용 프로펠러 4개가 달려 있다. 최대 운항 반경이 1km, 최대 4m 수심 깊이까지 운항이 가능하다. 고속으로 원하는 해역까지 비행한 뒤, 잠항으로 물속 환경을 탐사할 수 있다. 연구진은 ... ...
개기월식 때 달이 빨갛게 변하는 이유는?
2018.01.26
띠는 이유는 ‘레일리 산란(Rayleigh scattering)’ 때문입니다. 이는 빛의 파장보다 훨씬 더
작은
분자나 입자들에 의한 산란을 말하는데요. 지구의 대기로 들어오는 햇빛은 여러 가스 및 물방울, 먼지 등의 입자에 부딪치며 흩어지게 됩니다. 이때 보라색이나 파란색처럼 파장이 짧은 빛은 산란이 되는 ... ...
새끼 영양을 데리고 있는 표범
팝뉴스
l
2018.01.26
표범이 바위 위에 엎드려 있다. 숲을 헐떡이며 주변을 경계한다. 그런데 이 표범은
작은
동물 하나를 끌어 안고 있다. 팝뉴스 제공 자기 새끼가 아니다. 새끼 영양이다. 표범은 한쪽 발로 영양을 누르고 있다. 영양은 버둥거리고 도망치려 한다. 결국 바위 아래로 영양이 떨어지자 표범이 물어 ... ...
지구교신 없이 길 찾는 우주선… 深우주 탐사 새 돌파구 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1.26
궤도를 돌고 있기 때문에 ISS의 위치에 따라 X선 신호 도달에 미세한 시차가 생긴다. 이런
작은
변화를 측정하면 움직이는 ISS의 위치도 계산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런 방식으로 지난해 11월 섹스턴트를 이용해 움직이는 ISS 위치를 5km 오차범위 내로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데 성공했다. 제이슨 미쉘 ... ...
“습기만 있으면 로봇이 움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6
어떻게 쓰일지 예측하기 어렵다”며 “피부에 약을 바르는 등 의료 목적은 물론이고
작은
센서를 장착해 전장이나 환경오염 지역에 침투시켜 모니터링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씨앗처럼 스스로 움직여 싹을 틔우길 기다리는 눈치였다. 다양한 하이그로봇. - 서울대 공대 제공 ... ...
정보를 모두 일로 변환! 효율 98% 정보 엔진 구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1.25
먼저 정보를 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주어진 온도에서 무작위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작은
입자의 위치 정보(위치에너지)를 측정했다. 그 뒤 맥스웰의 도깨비가 가진 집게에 해당하는 레이저 집게로 입자를 가뒀다. 갇힌 입자는 자유로운 움직임을 하지 못하고 레이저 안에 위치한다. 이 때 ... ...
‘휘는 태양전지’ 실용화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4
공정으로 만든 것이다.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보고된 유기태양전지는 0.1㎠ 이하의
작은
면적에선 고효율을 보이지만 넓은 면적에서는 효율이 떨어졌다. 손 연구원팀은 태양전지 내에서 빛을 흡수해 전기를 생산하는 광활성층의 소재인 고분자 물질을 개발했다. 이 물질은 비교적 용액에 잘 ... ...
식품용기 속에 낀 ‘세균 때’ 플라스마로 없애 드립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4
미생물막을 제거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플라스마는 물질에 강한 힘을 가해 원자보다
작은
입자(전자와 이온)로 쪼갠 것으로, 다른 물질을 분해하는 등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성질이 강하다. 최 교수팀은 플라스마를 물에 쏴서 오존과 수산기, 과산화수소, 활성산소 등 물질 분해 능력이 매우 강한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