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인간"(으)로 총 3,5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훈련받는 바퀴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변한다. 6500만 년 전 공룡이 멸망한 것도 지구에 소행성이 충돌해서라고 하니 소행성이나 혜성의 공포는 결코 상상이 아니다. 그러나 인간 역시 자신의 멸망을 기다리지는 않는다. 먼저 중요한 것은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이나 혜성을 찾는 일이다. 과학자들은 2018년에는 지구 접근 소행성과 혜성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될 것으로 보고 있 ...
- 착각하는 뇌, 너 믿어도 되니?(2)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뒤섞어서 기억한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 사람도 해마가 기억을 분류하고 저장하는 과정에서 착각을 일으키면 데자뷔를 느끼는 거야. 인간의 기억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뇌가 비슷한 일을 착각하는 경우는 무척 흔해. 시험을 볼 때 분명히 내가 쓴 답을 책에서 봤고, 답이 맞았다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책엔 다른 답에 써 있는 경우가 있지? 데자뷔도 크게 ...
- 인간이 창조한 별들의 콘서트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군사용으로 인공위성을 사용한다는 건 안타까운 일이지만, 모든 과학기술에는 양면성이 있는 법이야. 앞에서도 보았듯이 인공위성은 인간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고, 과학을 발전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어. 최초의 인공위성 발사 100년 후인 2057년에 우주가 전쟁터가 될지, 아니면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곳이 될지 결정하는 건 바로 여러분 ...
- 천재 앵무새의 마지막 한 마디 “사랑해”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순서대로 하나하나 찾으려 한 것이다. 아폴로 프로젝트 이후 최대의 과학 사업으로 불렸던 인간게놈프로젝트는 2004년 마무리되었다. 인간의 설계도는 앞으로 난치병 치료 등 다양한 곳에 쓰일 것이다. {BIMG_R10}1950년 10월 6일 곤충연구가 석주명 사망 석주명은 1908년 11월 3일 평양에서 태어났다. 개성 송도중학교와 일 ...
- 과학자들의 수다 최고 과학자 3인은 누구?(1)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고민한 탈레스라구! 옛날부터 사람들은 세상이 무엇으로 이루어졌는지 궁금해 했다네. 그런데 내가 곰곰이 생각해 보니, 인간이나 동물이나 모두 ‘물’ 없이는 살 수가 없더군. 게다가 물은 끓이면 기체가 되고, 얼리면 얼음이 되는 등 세 가지 상태로 변하잖나? 그러니까 세상의 모든 존재는 물이 변해서 된 거라고 생각할 수 있지. 그래서 난 세상을 이 ...
- 과학자들의 수다 최고 과학자 3인은 누구?(2)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만들었다네. 어떤 동물이나 식물도 다 이 체계로 분류될 수 있도록 말야. 물론 사람도 마찬가지지. 이 때까지만 해도 사람들은 인간이란 존재는 신이 만들었기 때문에 동물과는 동떨어진 존재라고 믿고 있었어. 그래서 공개적으로 떠들고 다니진 않았지만 분명 고 기자 자네도 동물계, 척색동물문, 포유동물강, 영장목, 인류과, 호모속, 사피엔스종이라고 분 ...
- 붉은 보름달어린이과학동아 l20070912
- 갖는다고 해요. 물론 이 배아는 자궁에서 키우는 것이 아니라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줄기세포를 얻는데 쓰일 예정이에요. 그러나 인간의 유전자를 동물과 섞는다는 점에서는 큰 충격을 주고 있어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소제시작]이산화탄소 먹는‘개도박’[소제끝] 지구는 요즘 이산화탄소 때문에 몸살이 났어요. 이산화탄소가 늘어나면서 지구 온 ...
- 독도는 새똥이 살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0831
- 속 플랑크톤에겐 새똥이 영양이 풍부한 음식이다. 새똥을 플랑크톤이 먹고, 플랑크톤을 먹는 물고기를 인간이 잡고 있으니, 새똥은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 될 자원임이 분명하다. 육지로 쏟아지는 새똥은 식물이 자라거나 새들이 보금자리를 짓기 위한 흙의 재료가 된다. 독도는 아주 오래 전 바다 속 화산이 분출할 때 화산재가 쌓이고 쌓여 치솟 ...
- 괴물동물원 비밀노트(1)어린이과학동아 l20070810
- 효소가 있다. 혹시 불사조는 이 효소를 엄청나게 많이 갖고 있는 게 아닐까? 괴 박사의 분석 ‘백문이 불여일견’이라는 말이 있듯이 인간은 두 개의 눈을 통해 많은 정보를 얻는다. 눈이 얻은 정보는 뇌에 전달되는데, 이 때 눈에 맺힌 상이 두 개가 있어야만 ‘입체시’를 느낄 수 있다. 즉 한쪽 눈으로만 물체를 보면 입체로 보이지 않는다. 한쪽 눈 ...
- 군사로봇 짱 뽑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0810
- 통하지 않을 거예요. [소제시작]황우석 줄기세포, 처녀생식으로 만들어져[소제끝] 황우석 박사가 2004년 처음으로 만들었다고 보고한 인간배아줄기세포는 체세포 핵이식이 아니라 처녀생식으로 만들어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어요. 황우석 박사의 논문조작 사건을 조사한 서울대 조사위원회는 이 줄기세포가 처녀생식의 결과라고 발표했지만 황 박사는 체세포 핵이식 ...
이전3433443453463473483493503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