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d라이브러리
"
하지
"(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로 날아가는 999 기차역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싶어서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꿈이나 목표가 없으면 실제 기술도 발전
하지
못한다”며 “일본에서 두발 로봇이 발전한 것도 바로 아톰의 영향”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과학 타고 지구 한 바퀴 현대 문명을 낳은 철도 1. 세계로 가는 철도 다시 열린 철의 실크로드 ... ...
2. 우리 쌀은 좋은 것이야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색체선별을 통해 가장 좋은 품질의 쌀만을 골라냅니다. 그렇게 완성한 쌀을 완전미라고
하지
요.” 한국식품연구원 쌀연구단의 김훈 박사는 RPC(Rice Processing Complex, 미곡종합처리시스템)가 도입돼 2000종이 넘는 브랜드쌀을 만들어 냈다고 했다. RPC는 수확한 벼를 건조, 저장, 도정하여 제품으로 ... ...
귀신도 과학적으로 해부해 집필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글을 쓰던 초창기에는 학계에서 ‘왕따’를 당했고 비평가는 그의 글에 대해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 작가는 “최근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글을 쓸 수 있을 만큼 저변이 넓어진 게 장점”이라며 “질이 떨어지는 글도 있지만 ‘동네 축구’도 좋은 것 아니냐”고 얘기한다.공학도에서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끝에 ‘리기테다소나무’ 와 ‘현사시나무’ 등 추위에 강하고 병충해에 강한 종을 개발
하지
않았다면 아마 지금도 그대로였을 것이다. 현신규는 새로운 종의 개발뿐만 아니라 우리 산을 푸르게 만드는 데 평생을 바친 위대한 산림학자다.KIST 초대 원장 최형섭(1920〜2004)뛰어난 금속공학자이자 ... ...
자연에 숨어있는 수학의 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분명 그들 가운데에는 뒤죽박죽 덩어리 모양으로 자라는 생명체도 끼어 있었을 것이다.
하지
만 대칭을 이루며 정돈된 구조를 가진 생명체들이 결국 살아남았고 생명체는 그 방향으로 진화했다. 생명의 성장은 바로 세포가 나누어지고 여러 개로 복제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우리 몸의 모든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x², x³ 혹은 1/x 등이 포함되어 있는 항을 말한다 이 경우 y값은 x값의 변화에 비례해서 변
하지
않고, 복잡한 양상을 띨 수 있다 예를 들면 y=1/x²이라는 방정식에서 x=01일 때 y값은 100이지만, x=011일 때 y값은 8264이다 만약 x값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면 y값이 무려 1735나 달라지게 된다 이런 ... ...
러시아제 선내 우주복 입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귀환 과정에서 뜻
하지
않게 바다에 불시착하면 어떻게 할까. 소콜 우주복은 수분을 흡수
하지
않아 물에 가라앉지 않지만, 우주선에는 비상구조복이 갖춰져 있다. 오렌지색의 비상구조복은 물에 뜨고 보온 기능이 있는 게 장점이다. 물론 우리 우주인은 비상구조복을 입을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 ...
과학문화의 '메디치'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17세기 과학혁명의 초석을 놓았던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자신의 책에 스스로를 다음과 같이 소개했다. ‘고귀하신 토스카나 대공 전하의 철학자이자 수석 수학자이며 피사 ... 드는 일종의 ‘보험’이다. 후원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 개인이나 기업들이 이 보험금을 분담해야
하지
않을까 ... ...
종기가 사람 잡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성장을 촉진하고 항산화 효과가 있어 깨끗한 피부상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
만 천연 재료를 얼굴에 사용하기 전에 다른 부위에 먼저 소량을 시험해보는 것이 안전하다. 예민한 피부를 가진 사람은 재료 자체가 자극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
우리가 몰랐던 나무의 모든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4월 5일이 무슨 날인지 모르는 친구들은 없겠지요? 바로 나무 심는 날인‘식목일’입니다. 매년 학교나 동네 뒷산에서 묘목을 심었던 기억이 있을 거예요. ... 수준이지 병을 치료하는 특효약도 아닌데 말이지요. 사람들아! 제발 자기 건강만생각
하지
말고 나무 건강도 생각해 달라고요〜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