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세 개의 3등성이 가늘고 긴 직각삼각형을 그린다그리스의 히파르코스 시대부터 있던 별
자리
로 나일강의 삼각주를 상징하는 것이다 은하계 외성운의 대표적인 성운으로 은하계와 안드로메다 대성운 등과 함께 국부성운군(局部星雲群)의 하나지름 약 5만 광년, 나선팔을 편 전형적인 Sc형 ... ...
6. 평범함이 비범의 열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고민했던 사람은 당시 아인슈타인이 유일했다.대학을 졸업을 한 뒤 그는 대학에 조교
자리
를 얻지 못하고 임시직 교사와 실업 상태를 전전했다. 그렇지만 힘든 와중에서도 그는 이 문제를 손에서 놓지 않았다. 그는 1901년 9월 친구 그로스만에게 편지를 보내 물체의 상대운동에 대한 실험을 얘기했고, ... ...
10. 아인슈타인 해 맞아 '빛의 제전' 열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들어봤다. ‘물리의 해’행사는 어떻게 시작됐나4년전 유럽의 물리학자들이 모인 한
자리
에서 2005년을 물리의 해로 기념하자는 제안이 처음 나왔다. 20세기 현대 과학에 큰 영향을 끼진 아인슈타인의 위대한 논문이 4편이나 발표된 1905년을 기리자는 뜻에서 나온 아이디어였다.아인슈타인이 ... ...
부엌에서 부는 IT혁명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LG전자가 개발한 인터넷 냉장고 역시 ‘똑똑한 냉장고’가 미래 가정의 중심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준다.하나둘 눈앞의 현실로최근 들어 미래 부엌을 차지할 제품들이 하나둘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살톤사는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와 커피메이커, 제빵기를 ... ...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궤도를 갖고 있다. 1월 초순 황소
자리
영역에서 시작해 1월 하순까지 페르세우스
자리
로 이동한다. 그후로도 이 혜성의 북상이 지속돼 3월 8일 경이 되면 북극성 주변을 지나가게 된다. 이때 혜성 밝기는 다시 어두워져 6등급대가 된다. 이를 감안한다면 이 혜성은 1월을 정점으로 3월까지 좋은 관측 ... ...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조교
자리
를 주지 않았다. 베버 교수 밑에서 박사학위를 받을 수 없게 된 것이었다.취직
자리
도 마땅치 않아 이곳저곳에서 임시교사 생활을 했다. 1901년에는 전자기 이론 문제를 연구할 실험방법이 떠올랐지만 결국 아이디어에 그쳤다. 하는 수 없이 서둘러 박사학위를 받으려고 연방공대가 아닌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이와 관련해 두 사람은 여러해 동안 물리학의 근본 문제들에 대해 토론했고, 때로 이
자리
엔 가까운 친구였던 레이덴대 이론물리학교수 파울 에런페스트도 간혹 참가했으나 결코 근본에는 동의하지 못했다.아인슈타인은 양자론에 대해 “확률만을 제시하는 양자론은 불완전하다”고 하면서 “신은 ... ...
진화론의 고향 갈라파고스는 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화산폭발이 일어나면서 생긴 화산섬들이 옆으로 이동하면서 다음 생길 화산섬에게
자리
를 내준 셈. 갈라파고스 제도는 이렇게 탄생했다. 섬 곳곳에서 발견되는 산호 조각은 이곳이 먼 옛날 바다 속에 잠겨있었음을 말해준다.따라서 갈라파고스 제도의 동쪽에 있는 섬일수록 나이가 많다. 가장 ... ...
BMW 속도 무제한의 비결은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비록 시범연출이었지만 SF영화에서 봄직한 장면이었다.프로젝트 빌딩의 옆 건물로
자리
를 옮기자 ‘청정에너지’(Clean Energy)라고 쓰여 있는 자동차가 눈에 들어왔다. 놀랍게도 지난해 9월 19일 프랑스 미라마스 시험장에서 최고 시속 302.4km의 속도를 기록한 수소 자동차였다. 세계 최초의 수소연료 ... ...
우주의 닭이 머리 숙여 모이 쪼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새의 정체는 잘 알 수 없으니 닭이라고 해도 무방하리라.사실 사진의 주인공은 거문고
자리
에 있는 NGC6745다. 지구에서 2억 광년 이상 떨어져 있는 은하다. 수많은 별, 가스와 먼지가 어우러진 은하가 어쩌다 모이를 쪼아 먹는 닭의 모습이 됐을까.한국에서 닭은 시조의 탄생을 상징한다. 신라의 신화에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