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소행성 찾으러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예정이죠. 오시리스-렉스 개발자인 단테 로레타 박사는 “101955 베누에는 태양계 형성에 사용된 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며, “태양계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멀리, 더 멀리! 루시와 프시케오시리스-렉스와 하야부사 2의 목표가 지구 근처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인류와 함께 4000년! 쇠, 철, 강-철의 문화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체험을 해 봤어요. 환두대도는 삼국시대에 한반도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널리 사용된 철검이랍니다. 손잡이 끝에 둥근 고리가 있는 것이 특징이지요. 환두대도의 장식은 당시에 신분과 지위를 상징하는 역할을 했어요. 특히 용, 봉황, 주작 등의 모양을 새긴 것은 왕족과 같은 고귀한 신분의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나타내는 ‘위선’, 세로선은 ‘경도’를 나타내는 ‘자오선(경선)’이지요.이 둘을 사용하면 특정 지점의 위치를 정확히 나타낼 수 있어요. 여기서 위도의 기준은 적도예요. 그렇다면 경도의 기준은 어디일까요? 바로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에 있는 자오선이랍니다.15세기 후반부터 유럽 ... ...
- Part 5. 소행성에서 광물을 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훌륭한 연료이기 때문이지요. 물을 전기분해하면 산소와 수소가 되는데, 모두 연료로 사용할 수 있거든요. 또한 물을 수증기로 만들어 추진력을 얻을 수도 있답니다. 이처럼 우주에서 연료를 얻으면 더 오래 우주에 머무를 수 있지요. 일부 과학자들은 채굴이 가능한 소행성이 많지 않다고 ... ...
- Part 2. 100일 동안 하늘을 둥둥~ 초고압 기구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일이기에 정말 놀랍고 신기했지요! 우리가 찍은 사진과 자료는 NASA의 개기일식 연구에 사용될 예정이랍니다. Q. 친구들에게도 한 마디 부탁해요!꿈을 이루는 데 나이는 상관없어요. ‘너무 어려서 못할 거야’라는 생각은 버리세요. 꿈을 쫓아가다 보면 언젠간 이룰 수 있을 거예요 ... ...
- Part 3. 스마트폰만 있으면 나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태양에너지를 이용해 살아가요.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태양에너지를 영양소로 바꾸어 사용하고, 초식동물은 식물을, 육식동물은 초식동물을 먹이로 삼아 살아가지요. 그런데 개기일식이 일어나면 지표면과 대기가 받는 태양에너지의 양이 급격하게 변해요. 따라서 개기일식 당시 대기 상태를 ... ...
- [가상인터뷰] 멸종된 도도새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섬은 긴 항해에 지친 선원들이 쉬어가는 휴식지가 되었고, 선원들은 도도새를 식재료로 사용했어요. 모리셔스 섬에 새로 발을 들인 건 사람뿐만이 아니었어요. 사람과 함께 쥐나 원숭이 같은 천적들도 함께 찾아왔지요. 새로 모리셔스 섬에 거주하게 된 동물들은 도도새의 알을 빠르게 먹어 ... ...
- Part 3. 미래엔 기구에서 산다?! 기구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고민했어요. 그리고 화석 연료 대신 자연에 있는 에너지를 사용하며 기구를 타고 떠다니는 미래도시를 상상했지요. 이 상상을 실험하기 위해 전세계 과학자들과 함께 ‘에어로센’이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답니다. 에어로센은 공기와 태양열, 바람으로만 작동하는 ... ...
- [현장취재①] 해양 생물의 가장 위험한 먹이, 플라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지난 8월 26일, 서울 은평구 서울혁신센터 미래청 다목적홀에서 기묘한 일이 일어났어요. 100여 명의 사람들이 각자 가져온 플라스틱 쓰레기를 종 ... 모아 버리는 것이 재활용하기에 좋다”며, “재활용이 어려운 포장재나 페트병은 사용을 줄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강조했답니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어둠 속에 남겨진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갖춰질 수 있지요. 또 건물은 태양 전지판을 이용해 에너지를 얻고 빗물을 채집해 물을 사용할 예정이라고 해요.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 건물이 실제로 지어질 수 있을지에 대해서 의문을 품었어요. 이 건물을 짓기 위해선 매우 가벼우면서도 높은 기압과 뜨거운 온도를 견딜 수 있을 만큼 ... ...
이전3433443453463473483493503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