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약 4.5m/s씩 빨라지고, 수심 100m 깊어질 때마다 약 1.7m/s 씩 증가한다.소리보다 파장이 짧은
빛
이나 전파는 물에 금새 흡수되지만, 소리는 물 속에서 멀리 전달되므로 통신수단으로 이용할 가치가 크다.물속에서 소리가 얼마나 빨리 전달되는지 알아 본 것은 지금으로부터 170년 전 일이다. 1826년 다니엘 ... ...
'에너지 보존법칙'쉬운 길로 가보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물체의 속도가 작은 경우에 적용되는 뉴턴역학에만 성립하는 것이 아니라 물체가
빛
의 속도에 가깝게 움직여서 특수상대론을 사용해야 할 때에도 성립하는 법칙이다. 다만 이때는 질량도 에너지의 일종이므로 질량에너지까지 포함해 전체 에너지가 보존된다. 전자와 이의 반입자인 양전자가 만나면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선구자 홍대용(1731〜1783)세종대왕 때 이룩한 독자적인 과학 발전은 조선 후기에 들어 그
빛
을 잃고 만다. 바로 중국과 유교에 대한 지나친 숭배가 그 원인이었는데 홍대용은 당시 청나라를 통해 들어온 서양과학을 우리나라에 도입하려고 한 대표적인 실학자다. 그가 집필한‘의산문답’에는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실제는 표면에서의 깊이가 다른 각 층에서 방출·흡수를 되풀이한 후에 표면을 통과한
빛
이 지구에 오는 것이지만 연속스펙트럼 부분의 강도는 광학적 깊이가 1 정도인 층의 온도에서 생기는 열복사와 거의 같기 때문에, 마치 이곳에 광구가 존재하여 열복사를 하고 그 바깥쪽의 역변층, 채층에서 ... ...
TV 화면 비율이 4:3이었던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다시 발광소자와 비(非)발광소자로 나눈다.비발광소자는 디스플레이 자체가
빛
을 내지 않아 형광램프, LED등의 발광소자가 따로 필요하다. 대표적인 제품이 LCD다.비발광소자의 단점은 화면을 보기 위해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고, 따라서 색을 구현하는데 여러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 ...
조지 에어리와 윌리엄 도즈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불릴 만큼 예리한 눈을 갖고 있었다. 그 눈의 탁월함은 특히 행성과 이중성 관측에서
빛
을 발했다. 하버드 천문대의 윌리엄 본드가 38cm 구경의 굴절망원경으로 발견한 토성의 고리 내부에 원형 고리(C고리)가 있다는 사실을 도즈는 그 절반도 안되는 16cm 굴절망원경으로 발견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 ...
미래형 '헬리플레인'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오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잘 되지 않을 정도로 충실히 재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브라운관 TV는 형광면에 직접
빛
을 쏘는 방식인 반면, 프로젝션 TV는 내부에 들어 있는 브라운관 또는 액정 패널에 맺힌 상을 반사경으로 확대해 내보내는 투사 방식이다유전자가 발현하는 정도를 늘려주는 촉진인자다DNA염기서열 중에서 단백질 ... ...
우주 떠도는 해골 유령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갓 태어난 별들이 떼를 지어 모여 있다. 충혈된 눈의 붉은색은 수소가스에서 나온
빛
때문이다.새로 태어난 별들은 ‘코’ 부분에도 몰려 있다. 별의 개수는 약 50개로 추정되는데 이 별무리는 지구에서 2만5000~3만광년 떨어져 있다. 이 별들 가운데 몇몇은 무겁고 수명이 짧으며 얇은 수소층으로 ... ...
2. 모든 TV는 디지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불리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도 있다. 형광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
을 내는 현상을 이용한다. OLED는 낮은 전압에서도 작동하고 패널 두께가 2~3mm에 지나지 않으며, 시야각이 넓고 화면 응답속도가 빨라 잔상이 남지 않는다. 제조공정이 단순해 가격 경쟁력에서도 유리하다. 하지만 5~10년 이상 ... ...
귀신도 과학적으로 해부해 집필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13년 전 PC통신이 유행하던 시절 재미 삼아 ‘귀신 얘기’를 써서 올리던 공학자가 있었다. 그의 글은 나중에 850만부나 팔린 책 ‘퇴마록’으로 거듭났 ... 그의 글이 기성문단의 틀에 갇히고 말았을 터라는 것이다. ‘퇴마록’ 역시 세상의
빛
을 보기 힘들었으리라. 그의 차기작이 기대된다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