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광물이야기12 콩크레소-레온 황연석(Mimetite) 어느 모험가의 유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모험가들을 자극했고, 지금까지도 세계 곳곳의 오지에서 이 같은 모험이 지속되고 있다. 바로 이런 모험가들 덕분에 우리 모두 박물관 등에 전시된 아름다운 광물 표본을 즐길 수 있다. 베니 펜은 2014년 2월 23일 향년 78세의 나이로 삶을 마감했다. 하지만 그의 광물은 영원할 것이다. Thank you, Benny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이 기법으로 그려서 감췄어요.최근 이 기법을 적용한 작품을 쉽게 만날 수 있는 장소는 바로 트릭아트 미술관이에요. 트릭아트 미술관에 가면 마치 땅이 꺼지고 동물이 벽을 뚫고 나올 것만 같지요. 그건 작품이 그렇게 보이도록 작가가 계산한 위치를 따라 관람객이 이동하게 만들었기 때문이에요. ... ...
- [소프트웨어] SW 기업 탐방_난 동작으로 수정한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과정을 생략하는 아이디어를 생각해냈다. 동영상을 실행하는 앱 안에 있는 검색 창에서 바로 메시지를 보내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목소리로 수정하는 ‘큐키 보이스’도 있다. 스마트워치에는 키보드가 없기 때문에 목소리로 입력한다. 하지만 시끄러운 곳에서는 잘못 입력되기 쉽고, 발음이 ... ...
- [가상인터뷰]박쥐 VS 에볼라, 승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그런데 이 에볼라 바이러스와 오랜 기간 막상 막하로 싸우고 있는 동물이 있어! 바로, 박쥐야. 박쥐에게 싸움 전략을 배우면, 지구 정복도 문제 없겠지? 박쥐야~! 나를 도와 함께 지구를 정복하지 않을래?닥터 그랜마 : 쥐야, 안녕? 자기 소개를 부탁해.박쥐 : 안녕하세요? 저는 유일하게 날 수 있는 ...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얼마나 길었는지 날다 땅 위에 내려앉으면 기린(물론 당시엔 기린이 살지 않았지만)과 똑바로 눈을 마주칠 수 있을 정도였다. 로슨은 이 날짐승에게 날개 달린 뱀의 모습을 하고 있는 아즈텍의 신 ‘케찰코아틀(Quetzalcoatl)’의 이름을 따서 ‘케찰코아틀루스’라는 학명을 붙여줬다. ...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만든게 양조간장입니다.그런데 미생물 대신 다른 걸 이용할 수 없을까요. 있습니다. 바로 묽은 염산을 넣어 만든 산분해간장이죠. 전통간장이나 양조간장보다 빠르고 싸게 만들 수 있어요. 과정도 더 단순하고요. 그럼 혼합간장은 뭘까요? 양조간장과 산분해간장을 섞으면 혼합간장이 됩니다. 즉, ...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왼쪽 그림처럼 똑같은 글자가 자연스럽게 H로도 보이고(THE) A로도 보이는 (CAT) 착시현상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 생기는 거랍니다.뇌 속 하모니가 만드는 착시반면 대뇌에서 시각을 담당하는 부위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착시현상을 설명하는 경우도 있어요. 주관적 윤곽선이 대표적이에요. 주관적 ... ...
- [지식] 아이스크림 닮은 벤 다이어그램이 있다고?!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벤 다이어그램을 그릴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증명한 뒤 실제로 처음 찾아낸 것이 바로 그뤼바움 교수가 찾은 것과 똑같은 오른쪽 회전 대칭 벤 다이어그램으로 집합의 수는 7개다.“아이스크림 콘 모양으로 만들어 봤어요!” 릭 마브리집합이 3개인 벤 다이어그램이 브루니안 고리와 닮았다는 ... ...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팡! 물풍선이 터진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생김새에 따라 충돌했는지 알아내는 방법이 달라집니다. 그 중 비교적 간단한 원리가 바로 ‘벽돌 깨기’에 나오는 점과 선의 충돌입니다. 공(점)이 떨어지는 자리에 판자(선)를 갖다 대면, 공이 부딪혔다가 튕겨 오르면서 벽돌을 부숩니다. 좌표에서 점이 선 위에 놓여 있다면 둘이 충돌했다고 볼 수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단청 퍼즐 속 수학 찾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심미성과 기능성을 모두 갖춘 단청의 기하학적인 무늬에서 수학적 규칙도 찾을 수 있다. 바로 ‘평면의 대칭군’이다. 평면의 대칭군은 2차원 평면을 채우는 반복적인 무늬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이다. 각 무늬가 가지고 있는 대칭성을 기준으로 하는데, 평면의 대칭군은 총 17개로 분류할 수 있다. 1 ... ...
이전3433443453463473483493503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