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
엔진
기기
기계
숨통
숨구멍
공공기관
d라이브러리
"
기관
"(으)로 총 3,981건 검색되었습니다.
하이테크 시대의 복병 EMI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라디오 TV는 물론 각종 통신에 널리 쓰이는 전자파지만 이의 범람은 EMI(전자파방해)라는 새로운 공해를 일으킨다. 전자파방해는 인체에 나쁜 영향을 주기도 하며 컴퓨 ... 하고, 이에 앞서 관련 기술이 확립될 수 있도록 산업체 연구소 학교 그리고 관련 정부
기관
에서 많은 노력을해야겠다 ... ...
최근에 개발된 명약 이야기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어렵기 때문이었다. 사실 프로스티글란딘온 혈압하강 위산분비억제 위장운동 항진
기관
지확장 자궁수축 이뇨 등 다양한 작용을 보유하며, 그 위력도 대단히 강력하다.연구를 시작하려면 먼저 천연 프로스타글란딘을 다량으로 확보해야만 했다. 실제로 연구를 하고 싶어도 생체내 미량으로 ... ...
대학입시 과학문제 철저분석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나뉘어진 복합적이고 광범위한 자연과학이다. 흔히 출제위원장이나 입시 전문
기관
에서 문제 분석을 한 내용을 보면 교과서내의 전 단원에서 골고루 출제되었다고 발표하는 데 이는 단순히 숫자의 장난에 지나지 않는다. 즉 전단원에서 골고루 출제가 되었더라도 그 문제의 비중이 어느 정도인가가 ... ...
PARTⅠ 도시교통문제를 보는 시각 달라져야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지난 4반세기 동안 연평균 18.7%씩 증가, 1988년 현재 2백 3만5천대에 이르고 있다. 전문
기관
의 예측에 따르면 우리도 앞으로 10년 이내에 보유대수가 적어도 1천만대를 상회할 것이라고 한다.그런데 철도와 같은 대중교통수단과는 달리 개인 승용차는 개인에게 기동성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도시의 ... ...
인공폐장치 성공할까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것이다.연구팀은 이 장치가 1백50마리의 양과 개를 통한 동물 실험에서 아무런 혈액이나
기관
의 손실을 초래하지 않았고 19일간 유지될 수 있었다고 말한다. 생존가능성 10% 환자 대상그러나 이 장치의 성공가능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다. 미국 '국립 심장 폐 혈액연구소'의 '렌펀트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노력이 소요된다. 따라서 남극연구에 긴 역사를 가진 나라들은 반드시 남극연구 전담
기관
이 있다. 영국 소련 서독 일본 아르헨티나 칠레 등이 대표적인 예다. 남극조약의 발효1817년 남극을 첫발견한 이래 19세기말~20세기초에 이르는 '영웅들의 탐험시대'와 그 이후의 '기계화 탐험시대'를 거쳐 195 ... ...
바이오에틱스, 마침내 수면 위로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대학병원과 제일병원 차병원 등 민간병원으로 잇따라 확대됐으며 작년 3월엔 의원급 의료
기관
인 마리아의원(서울 동대문구 신설동 소재)도 가세하는 등 급속도로 보편화되고 있다.시험관 아기를 탄생시키는 방법은 체외수정(IVF)과 나팔관수정(GIFT)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 임신성공률을 높이기 ... ...
정밀화학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신규 정밀화학 분야에 대한 연구를 거국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그 주역은 국책연구
기관
인 홍릉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에 있는 한국화학연구소다.앞으로 90년대에 국내에서 추진할 연구의 초점을 살펴 보자. 의약품 분야에서는 퀴놀론 경구용 베타락탐항생제 ... ...
통신에 활용되는 빛의 「유도탄」 광섬유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두말할 나위없이 빛의 이용은 인간생활에서 너무도 중요하다. 인간은 '눈'이라는 감각
기관
으로 이 빛의 혜택을 누려 왔다. 그런데 눈이 받아들이는 빛은 가시광선에 한정되고, 간단한 사물의 존재를 확인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실제로 1950년대까지만 해도 빛의 이용은 가시광선에 국한되어 ... ...
PARTⅡ 조력발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가로림만과 천수만에 대한 조력발전 타당성 조사가, 당시 한국 최고의 과학기술 연구
기관
인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부설 해양연구소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때의 조사에는 처음으로 정밀 해양관측장비와 컴퓨터가 이용되었다. 1978년에는 우리나라의 조력발전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조사·연구를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