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장"(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리듬 시그널] 이 자료는 내가 보냈소! 디지털 서명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또 이 사람이 보낸 게 맞는지 확인할 수 있겠죠? 디지털 서명은 ‘컴퓨터과학에서 가장 천재적’이라고 불리는 ‘공개 키 암호화’와 아주 비슷한 원리를 써요. 왼쪽 그림에 알기 쉽게 정리했으니 같이 공부하면 더 안전하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을 거예요 ... ...
- [SW 진로 체험] AI가 있는 곳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전공이 다른 여러 연구원들이 서로 모르는 부분을 조금씩 채워가며 일을 해야 하죠. ● 가장 필요한 능력은? 김 기자 : AI 연구원을 꿈꾸는 청소년에게 조언해 주세요. 임성빈 연구원 필즈상 수상자인 히로나카 헤이스케의 스승 오스카 자리스키는 헤이스케에게 ‘치아를 튼튼히 하라’고 ...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스파게티 면 난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보통 막대기 모양 물체는 한계보다 많이 구부러지는 순간 두 동강이 납니다. 가장 심하게 휘어졌던 부분이 끊어져 힘으로부터 자유로워지면, 다시 곡률이 낮아지며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거죠. 그런데 스파게티 면은 조금 달랐습니다. 스파게티 면은 오히려 부러지는 순간 반대쪽이 더 심하게 ... ...
-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바너드별 b’라는 이름이 붙은 이 행성은 지금까지 발견된 슈퍼지구 중 지구와 가장 가까운 행성이랍니다. 질량은 지구의 3.2배 무거우며 중심별인 바너드 항성을 233일 주기로 공전하고 있지요. 행성의 기온은 영하 170℃로, 아쉽게도 사람이 살기엔 너무 추워요. 다만 대기가 존재할 경우, 기온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동화나라가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살짝 뛰어오른다 해도 천장에 머리를 세게 부딪쳐 오히려 크게 다칠 수 있지요. 가장 현명한 방법은 가방을 머리 뒤쪽에 받치고, 큰 대자로 눕는 거예요. 바닥과 접촉하는 면적만큼 충격이 분산돼 한 부위가 심하게 부상당하는 참사는 피할 수 있지요. 또 충돌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사람이 받는 ... ...
- 슬기로운 진로 탐구생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통해 그 의미를 잘 드러낼 수 있도록 하는 시각 연출자 -영화, 음악 등의 컨셉, 철학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비주얼 콘셉트 기획-감독, 연출가와 장면마다의 시각적 요소(인물, 사물, 조명, 의상 등) 배치 총괄-그래픽 디자인을 기본으로 사진, 스타일링 등 전체 비주얼 스토리 생성 비주얼 ... ...
- [에디터노트] 더 넓은 창으로 보는 과학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잡지 업계는 상황이 다르다. A4(210×297mm)를 기준으로 가로세로를 조금씩 줄여 매체별로 가장 적합한 판형을 사용하는 추세다. 미국 주간지 ‘피플’과 경제지 ‘포춘’은 한 손에 쏙 들어가는 크기(200.025×265.1125 mm)를 채택하고 있다. 네이처그룹이 발행하는 173년 전통의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 ...
- [과학뉴스] 지질학적으로 지금은 ‘치킨 시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밝혔다. 베넷 연구원은 “지구상에 가장 수가 많은 척추동물이자 동시에 인간에 의해 가장 많은 변화를 겪었다는 점에서 현대의 닭이 인류세의 상징이 될 만하다”고 주장했다.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 오픈 사이언스’ 2018년 12월 12일자에 실렸다.doi:10.1098/rsos.18032 ... ...
- [이달의 PICK] 새해 계획 성공하려면? 뇌가 조종하는 도파민 경로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중독에 빠질 위험이 큰 이유도 여기에 있다. 김 교수는 “전전두엽은 뇌에서도 가장 늦게 발달하는 영역으로, 평균 만 16세까지 계속 발달한다고 알려져 있다”며 “해롭다는 판단이 부족하고 도파민이 주는 쾌락만 추구하다보면 중독 현상에 쉽게 빠진다”고 말했다. 2006년 아드리아나 갈반 미국 ... ...
- [10대의 약] ‘키 크는 주사’ 맞으면 170cm가 180cm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크는 것, 10대의 가장 큰 희망사항이죠. 하지만 학업에 시달리는 청소년이 ‘성장의 골든타임’이라는 밤 10시부터 새벽 2시 사이에 잠자리에 드는 게 쉽지만은 않습니다. 그래서 소위 평균에 해당하는 청소년(오른쪽 그림)조차 ‘키 크는 주사’를 맞는다는 얘기를 종종 듣곤 합니다. 키 크는 ... ...
이전3433443453463473483493503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