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이송이 지연돼 초기 치료 대응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 아동의 사망을 막는 것이 불
가능
한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최윤용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홍보팀 대리는 “부모의 동의를 얻을 수 없는 학대 피해 아동의 상황을 병원이 이해할 필요가 있다”며 “즉각적인 조치를 위해 병원에 ... ...
[과학뉴스] 화석 찾고 싶으면 ‘화석
가능
성 지도’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있을
가능
성을 최종 산출했다.킬대 잉마르 웅켈 교수는 “다른 대륙에서 화석이 발견될
가능
성도 예측할 수 있다”며 “기존 화석 발굴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잠재적인 화석 발굴지를 알아내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플로스원’ 3월 30일자에 발표됐다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위해서는 유전자 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4)간단한 유전자 설계만으로도 제작이
가능
하기 때문에 바이오센서는 활용도가 높다. 폭약의 주성분인 트라이나이트로톨루엔(TNT)을 감지하는 센서가 대표적이다. 미국 콜로라도주립대 준 메드포드 교수팀은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범위가 35점까지 늘어나게 돼 사후경과시간을 추정하는 데 통계적 분석이
가능
하게 됐다. 메기에시 박사가 만든 점수체계와 방정식을 개선·보완한 논문이 2005년 이후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 ...
[Knowledge] 과학인가 사기인가 과학 데이터와 통계 논란(下)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행사해 연구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로 만들 수 있다는 점도 문제다. 두 가지 방법이
가능
하다. 유의확률이 충분히 작아질 때까지 실험을 계속하는 방법과(실험 데이터를 계속 모으면 0에 가까워진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문턱 값, 즉 0.05보다 작은 유의확률이 나올 때까지 계속 서로 다른 영가설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한다고 설명했다. 꽃봉오리가 너무 크면 비바람이나 외부 압력으로 망가지거나 떨어질
가능
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백합은 거대한 꽃잎을 주름이 질 정도로 오므려 작은 꽃봉오리 안에 감추는 방법을 택했다.이렇게 식물은 최대한 많이 번식하기 위해 시각적으로 화려하고, 기하학적으로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수가 적은 체스에서는 무작위 대입으로 사람을 이길 수 있었지만, 바둑은 그것이 불
가능
했다.그래서 알파고는 ‘무작위 표본 추출’★이라는 알고리즘을 이용해 표본을 뽑아 탐색하며 바둑을 둔다. 표본이 전체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활용한 것이다. 표본 집단의 크기가 커질수록 정확도가 ... ...
[수학동아클리닉] 삼각형의 세계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없다면 다른 도시를 우회해 이동해야 한다. 이때 우회도로는 두 도시의 직선거리에
가능
한 가까워야 한다. 들로네 삼각분할을 이용해 도로를 연결하면 우회도로의 이동거리를 어느 정도 짧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들로네 삼각분할은 컴퓨터 그래픽 분야에서 모델링이나 3D애니메이션으로 3D입체를 ... ...
[과학뉴스] 염증 치료물질, 우울증도 고칠까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염증을 가라앉히는 물질이 우울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UC데이비스 브루스 해먹 통합암센터 교수팀은 TPPU라는 화학물질이 우울증 ... 항우울제로 치료가 안 된다”며 “이번 연구 성과는 새로운 우울증 예방 및 치료제 개발
가능
성을 높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알파고는 슈퍼컴퓨터 급의 계산 능력이 있었기에
가능
했지만, 인간은 이런 계산이 불
가능
하다.그렇다고 인간이 이대로 주저앉지는 않을 것이다. 사실 인간의 직관이 방대한 데이터에 의해 무너진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데이터가 잘못된 직관을 바로 잡아 그 분야를 발전시키기도 했고,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