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뉴스
"
형태
"(으)로 총 6,197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로작업자 안전 위한 '이동식 방호울타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14
와 피견인차(방호울타리)가 연결된
형태
다. 이들 차량은 평소에는 방호울타리가 접힌
형태
로 주행하다가 공사구간에서는 양 차량간 방호울타리를 펼쳐 총 42m의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고속주행 상황에서도 운전자에게 도로 작업공간을 인식시키고 차량통행과 작업자를 물리적으로 ... ...
1조 분의 1초만에 사라지는 핫전자 잡아 태양전지 효율 12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놓인 나노 다이오드를 제작했다. 그런 다음 그 위에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를 쌓아 올린
형태
의 태양전지를 만들었다. 그 결과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핫전자 태양전지에 빛을 비추면 페로브스카이트와 금 나노구조체가 각각 핫전자를 발생시켜 핫전자의 흐름이 크게 증폭된 것을 확인했다. ... ...
비싼 희토류 사용 줄인 값싸고 강한 차세대 자석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연구팀이 나노 섬유
형태
로 희토류 자성 물질을 가공한 뒤 다시 다른 물질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기존보다 성능을 높인 자석을 개발했다. 전기차와 소형 전자기기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값비싼 희토류 사용을 줄이면서도 전기모터나 발전기, 자성 센서 등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으로 나노미터급 미세소관 움직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10억분의 1미터)의 지름에 200나노미터~25마이크로미터(μm, 100만분의 1미터) 길이의 원통
형태
로 이뤄졌다. 인간의 머리카락보다 약 1000배 얇은 수준이다. 표지 속 오렌지색의 동그란 물체가 모터 역할을 하며 미세소관을 움직인다. 이 동그란 물체의 정체는 모터단백질이다. 모터단백질은 단백질 ... ...
뇌에서 ‘메트로놈 신경세포’ 발견
과학동아
l
2019.08.09
브라운대 신경과학과 교수팀은 설치류의 뇌 속에서 규칙적인 리듬을 유지하는 새로운
형태
의 신경세포를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뉴런’ 7월 1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새로 발견한 뉴런은 메트로놈처럼 정확하게 초당 약 40회 자극을 일으키며, 외부감각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 ...
폭염 속 전기 없어도 시원한 빌딩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벽처럼 비스듬히 세웠다. 가로세로는 각각 25.4cm, 높이는 45.72cm인 사각뿔을 뒤집은 듯한
형태
다. 특정 방향으로 빛을 쏠 수 있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구조를 모방해 열을 하늘 방향으로만 방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디자인한 것이다. 태양으로부터 받은 열을 효율적인 복사냉각 시스템을 적용해 ... ...
신체 대사작용의 효율을 높여주는 생체모방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탈포밀화 반응이 일어나면 화합물 내 탄소와 산소가 이중으로 결합된 구조가 다른
형태
로 이탈된다. 예를 들어 성호르몬 성질을 지닌 스테로이드의 변환 반응을 조절하거나 지방 알데하이드가 탄화수소로 변화하는 것과 같은 화학반응을 조율한다. 연구팀은 이런 탈포밀화 반응을 일으키는 ... ...
항산화 원리 이용해 리튬공기전지 수명 약 10배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형성되는 리튬과산화물은 산소와 전자의 전달을 방해한다. 하지만 리튬과산화물이 도넛
형태
로 만들어지면 전달 방해가 줄어든다. 연구팀은 “새로 개발된 촉매를 이용한 리튬공기 배터리의 충방전 사이클이 50회 이상으로 증가했다”며 “대조군의 경우 수회 만에 배터리 수명이 다했다”고 ... ...
스마트폰앱 버튼 누르니 뇌에 칩 심은 쥐가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연구실에서 쓰이는 광섬유 및 약물주입관은 뇌 이식 후 외부기기에 선이 연결된
형태
로 사용해야 해 자유로운 행동을 방해한다. 스마트폰앱을 이용한 마이크로 LED 컨트롤을 하는 모습. KAIST 제공 연구팀은 중합체 미세유체관과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를 결합해 머리카락 두께의 유연한 탐침을 ... ...
실험실 아닌 실제 현장에서 인공광합성 돕는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것을 파악하고 철 성분에 영향을 받지 않는 탄소나노튜브에 질소 원소가 들어간
형태
의 촉매를 개발했다. 이 촉매는 고가 촉매인 은 촉매와 같은 이산화탄소 전환 성능을 보였다. 수돗물 환경에서 20분 이내 성능이 80% 감소하는 은 촉매와 달리 120시간 동안 안정적인 성능을 보였다. 연구팀이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