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뉴스
"
과학
"(으)로 총 28,82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 업그레이드된 단백질 설계 AI…백민경 교수도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결합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설계하는 딥러닝 방법을 개발했다. 백민경 서울대 생명
과학
부 교수가 워싱턴대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을 때 주도해 개발한 단백질 입체 구조 예측 프로그램인 ’로제타폴드'의 최신 버전이다. 로제타폴드는 2021년 사이언스가 뽑은 그해의 최고 혁신 연구 성과로 뽑힌 바 ... ...
"獨, 코로나 이후
과학
자들 더 존중 …자원 부족·고령화, R&D로 극복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독일이 단기적, 장기적인 차원에서 어떤 청사진을 함께 그려나가길 바라는가? "젊은
과학
자들 간의 교류를 확대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양국의 인재들이 서로 만나고 서로의 연구기관을 방문하는 것이 장기적인 협업으로 가는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양국의 연구기관들이 ... ...
가장 즐겨먹는 커피종 '아라비카' 기원 규명됐다
2024.04.21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빅토르 알버트 미국 뉴욕주립대 버팔로캠퍼스 생명
과학
과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아라비카 종 표준유전체를 분석하고 이같은 연구결과를 1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유전학'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DNA 염기서열 분석 기술을 통해 아라비카 종의 표준유전체를 ... ...
눈 깜박이는 이유 따로 있다…"새로운 시각 정보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과정과 눈을 깜박이는 행위 간 연관성을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지난 9일 미국국립
과학
원회보(PNAS)에 공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눈을 깜박이는 행위는 우리가 깨어 있는 시간의 3~8%를 차지한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의 눈 움직임을 추적하고 컴퓨터를 이용해 시각 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에서 ... ...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
과학동아
l
2024.04.2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누구나 뼈와 근육이 급격히 발달하는 청소년기에 키가 쑥 큰 경험이 있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같은 시기 뇌 역시 급격한 ... 위해 노력하고 또 지연 과정을 감내하는 법을 배우며 자극과 싸워야 합니다." ※관련기사
과학
동아 3월호, [특집]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 ...
한
과학
영재의 자체 발광 식물 연구 일기
과학동아
l
2024.04.2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연구실에서나 볼 수 있던 발광식물이 2024년 4월 미국에서 처음으로 상용화됩니다. 밤이 되면 자체적으로 빛을 내며 방을 밝히는 식물 ... 논문과 특허 신청서를 쓰고 실험을 진행하며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과학
동아 4월호, '자체발광' 발광식물 연구 ... ...
1초에 3m나 찍! 매미 소변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4.20
매미는 다른 곤충과는 달리 포유류처럼 소변을 물줄기처럼 뿜어 낸다 (왼쪽 매미가 오줌을 배설하는 장면을 가까이서 관찰한 모습). Saad Bhamla et al. ...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
과학
동아 4월 15일, [통합
과학
교과서] 급하다 급해! 어린 왕자의 S.O ... ...
[표지로 읽는
과학
] 멸종위기 코끼리 살리는 '산림인증제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4.20
네이처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아프리카 숲 코끼리'라고도 불리는 둥근귀코끼리(학명 Loxodonta cyclotis)가 열대 숲을 거니는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전 세계 열대 숲의 4분의 1 이상이 목재를 위해 개발 중이다. 산림 벌목은 코끼리를 포함한 포유류 생물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조에리 ... ...
"목성의 달 이오의 화산활동 45억7천만년 전 시작됐다"
연합뉴스
l
2024.04.19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Caltech) 캐서린 드 클리어 교수팀은 19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서 이오의 희박한 대기 중 기체를 관측, 황(S)과 염소(Cl) 함유 분자의 안정적인 동위원소들의 비율을 분석,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목성 주위 갈릴레이 위성 중 목성에 가장 ... ...
"4천700만년 전 거대 뱀 화석 발견…몸길이 최대 15m"
연합뉴스
l
2024.04.19
인도 우타라칸드주의 인도루르키공대(IITR) 데바짓 타다·수닐 바즈파이 박사팀은 19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구자라트주 갈탄 광산에서 4천700만 년 전 중기 에오세 지층에서 거대한 뱀의 척추뼈 일부를 발견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화석들은 서부 구자라트주 쿠치에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