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키와 몸무게의 함수관계과학동아 l2000년 07호
- 몸무게,가슴둘레,앉은키,팔길이,다리길이,피하지방 두께 등의 측정값이 이용된다.이런 측정값들과 더불어 이것들 사이의 비인 여러 가지 체격 지수가 사용된다.체격 지수 중에서도 키와 몸무게의 관계로 비만도를 나타내는 로러 지수(Rother's index)또는 다른 말로 신체 충실 지수가 많이 사용됐다 ... ...
- 가능성 보여준 양자 원격이동과학동아 l2000년 07호
- 수많은 SF영화와 소설에 원격이동이 포함돼있다.그만큼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때문이다.SF물에서 보여준 원격이동은 과연 이뤄질 수 있 ... 실제로는 이 4가지 벨의 상태에 해당하는 4가지 결합측정 결과가 가능하다.이 4가지 측정 결과에 대한 정보를 받아 양자 상태의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 ...
- 배꼽은 사람 몸을 황금분할한다.과학동아 l2000년 06호
- 많은 사람이 이 말에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주변 사람들의 인체 비례를 측정해 보는 것은 어떨까. 뉴욕시에 살고 있는 롱크(F. A. Lonc)는 여자 65명의 키와 배꼽까지의 높이를 재서 이를 확인했다고 한다. 그는 여자의 키를 배꼽까지의 높이로 나눈 값의 평균이 1.618이었다고 발표했다 ... ...
- 곤충진기명기과학동아 l2000년 06호
- 것으로 보인다. 실제 실험실에서 등에모기의 날개를 떼고 날개 근육의 진동주파수를 측정했더니 날개가 있을 때보다 더 늘어나 2천2백Hz에 달했다.이렇게 빠른 날갯짓은 또다른 이점도 있다. 새 중에서 가장 빠른 날갯짓을 하는 벌새가 꿀을 먹으며 공중에 정지할 수 있는 것처럼, 곤충도 공중에서 ... ...
- 간의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조선의 천문학자들은 간의를 통해 천체들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고 그 운동을 정확히 기술해낼 수 있었다. 태양의 운동(지구의 공전운동)이 여름에는 얼마나 느리고 겨울에는 얼마나 빠른지, 목성의 겉보기 운동이 천구상에서 몇 도 움직이며, 또 아주 미세하게 오차를 ... ...
-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과학동아 l2000년 06호
- 그림자를 발견한 것처럼 들떴다.그로부터 5년간 미국과 유럽에서는 여러 상태에서 측정된 뇌파에 대한 카오스 분석 결과가 쏟아지기 시작한다. 간질 환자의 뇌파는 겨우 2-3개의 변수로 기술될 수 있는 신호라는 사실이 밝혀졌고, 질병에 따라 뇌파의 차원과 ‘복잡한 정도’(complexity)가 달라진다는 ... ...
- 양자세계의 토끼 사냥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주위를 도는 전자의 궤도는 알수 없다.궤도를 측정하기 위해 전자의 위치를 아는 순간 측정 행위에 의해서 전자는 운동량을 받아 다른 곳으로 튀어나갈 것이기 때문이다.따라서 태양의 주위를 도는 지구처럼 전자가 원자핵 주위를 돌고 있다는 말은 좋은 비유이기는 하지만 정확한 표현은 아닌 ... ...
- 3. 우리은하는 어떻게 탄생했을까과학동아 l2000년 05호
- 은하보다 10배 큰 모형이었다.1920년대 초반 린드블레드는 구상성단의 시선속도를 측정해 우리 은하가 적어도 2백50km/초의 속도로 회전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별들은 은하계 중심에 대해 약 2백-3백km/초의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우리은하의 모양이 원반처럼 생겼다고 결론을 내렸다.한편 193 ... ...
- 측우기·수표·풍기죽과학동아 l2000년 05호
-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경험법칙들이 있다. 하지만 이런 바탕에는 우리 조상들의 기상을 측정하고 통계를 내서 경험을 과학화하려고 했던 과학적 사고방식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 ...
- 만약 산소 반응성이 두배 높아진다면?과학동아 l2000년 05호
- 초반 돌턴의 원자설과 아보가드로의 분자설이 나오고 화합물에 들어있는 원소의 성분이 측정되면서 원소들이 어떤 규칙에 의해 결합한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다. 예를 들면 산소는 항상 양손을 사용해서 두개의 결합을 이루고, 수소는 한 손은 주머니에 찔러 넣었는지 항상 한 손만 가지고 ... ...
이전342343344345346347348349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