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척
진전
전진
과정
진출
진보
순서
d라이브러리
"
진행
"(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칼레이도 사이클로 만드는 정육면체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소마큐브는 정육면체 여러 개로 이뤄진 조각 7개를 합쳐 3×3×3 정육면체를 만드는 퍼즐이다. 여러 개의 조각으로 정육면체를 맞춰가는 재미가 쏠쏠하다. 다른 입체도형으로 정육면체를 만들 수는 없을까? 이번 호에서는 빙글빙글 돌릴 수 있는 신기한 다면체, 칼레이도 사이클을 이용해서 정육면체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여러 가지 리듬을 들어보고 고르시면 돼요.” 김 연구원과 같이 청소년 음악치료 사업을
진행
하는 신아름 음악치료사가 말했다. 리듬을 고르고 랩을 시작했다.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인지 리듬에 맞게 끊어 읽는 것도 쉽지 않았다. 김 연구원은 “랩은 가사에 라임(rhyme)이 있어야 부르기 쉽고 리듬이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매우 다양한 실험장비와 측정방법이 동원된다. 그래서 여러 연구자들이 분업해서 실험을
진행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한 명의 연구가 학술지 논문에 필요한 양과 질을 채우지 못해 여러 명의 연구가 하나로 묶이기도 한다.이런 조건이다 보니 연구 전체를 감독하고 조율하는 연구책임자(대부분 교수 ... ...
[지식] 헤이그 특사 이상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헤이그 특사로 잘 알려진 독립운동가 이상설이 집필한 수학교재 의 원본이 최근 오랜 수소문 끝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고문서 틈에서 발견돼 세상에 공개됐다. 이 책은 19세기 말에 쓰인 수학책으로, 한국의 전통 산학과 오늘날 배우는 현대 수학의 연결고리와 같다. 불꽃같은 독립운동가였을 ... ...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대한 연구가 영향을 받을 것이다. 전 세계에서 지금 이 순간에도 매듭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화장실로 간 수학자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Part 3. 벽과 바닥에 숨은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그리고 게임 규칙을 토대로 만들며, 사람들이 호기심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듭니다.게임이
진행
되는 세계를 게임 배경이라고 합니다. 중국의 삼국시대를 배경으로 할 수도 있고, 가상의 외계 행성을 설정해 만들 수도 있습니다. 대신에 그 시대와 장소에 어울리는 캐릭터를 만들어야겠지요. ... ...
신나는 지사탐 활동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4월 27일부터는 이화여대 장이권 교수님과 함께하는 청개구리·수원청개구리 현장교육도
진행
됐어요.발대식과 현장교육의 생생한 모습을 전해 드릴게요~.“올해도 신나게 뛰어놀아요!”발대식은 지구사랑탐사대 3기의 활동을 시작하는 행사예요. 이 날 발대식에는 3기 탐사대원인 전국 285팀 1100여 명 ... ...
[과학뉴스] “여드름 안녕~!” 봉독으로 만든 여드름 치료제 임상시험 돌입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따른 치료 효과를 분석한다. 연구를 담당한 한상미 농업연구관은 “1년 가량 임상실험을
진행
한 뒤 이르면 2016년 후반부터 치료제를 시판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시내 공립고등학교에 망원경이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천체망원경이 1~2대밖에 없어요. 학생들에게 망원경을 직접 다뤄보게 하는 실습수업을
진행
하기 어렵죠. 별볼일 천문대는 실습용 망원경과 사진관측용 망원경을 20대 이상 보유하고 있어서 학생들의 개별 체험 활동이 가능합니다.”실제 별볼일 천문대의 ‘별찬여울’ 관측소에는 사진 관측용으로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위해 개발된 CT(컴퓨터단층촬영) 기법을 이용해 공룡의 뇌를 복원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물론 공룡의 뇌는 화석으로 남지 않는다. 하지만 뇌가 들어 있던 뇌실(braincase)은 남는다. 이 뇌실의 내부(공동)는 안에 들어 있던 뇌의 모양과 거의 일치하는데, 공룡의 뇌를 연구하는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