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국유학일기] 아이폰의 나라에 매료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중학생 시절 애플의 창업자 스티브 잡스가 ‘아이폰’ 출시 프레젠테이션을 했다. 이후 전 세계가 아이폰이 몰고 올 기술의 혁신에 대해 떠 ... 찾고, 전문성을 바탕으로 그런 일들을 해내는 곳이다. 현재 나는 이런 환경에서 중학교 때 꿈꿔왔던 큰 세계로 나가기 위한 준비를 계속하고 있다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내가 주인이 되는 재미있는 수학 공부, 율곡중학교 오선영 교사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못 맞혀도 아이디어를 이해하면 ‘수학적 센스가 있다’고 칭찬했죠. 또 수행평가의 비중과 횟수를 늘리고 2번이었던 지필고사를 1번으로 줄였습니다. 그러자 주눅이 들어있던 학생들에게 신기한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무슨 ‘근자감’인지 학생들이 이렇게 말하기 시작하더라고요. ‘수학이 ... ...
- 소프트웨어와 촉감으로 정교해진다! 휴머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저부터 소개해도 될까요? 휴머노이드야말로 앞으로 로봇 100년을 이끌어갈 든든한 맏형이죠. 공장과 식당 등에서 쓰이는 로봇팔이 저에 ... 어딘가 부딪혀 부서지지 않기 위해서도 필요한 감각”이라며, “로봇이 수많은 자극 중 위험한 것만 알아내는 기술도 개발돼야 한다”고 말했답니다 ... ...
- [한장의과학] 비밀을 간직한 사하라의 눈 … 리차트 구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9월 16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체류 중인 미국항공우주국(NASA) 소속 우주 비행사 닉 헤이그가 ISS에서 찍은 사진 한 장을 트위터에 공개했어요. 사진에는 사람의 홍채처럼 보이는 동그란 지형이 담겨 있었지요. 이는 지름이 50km에 달해 우주에서만 볼 수 있는 ‘리차트 구조’로 사하라 사막 서부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명예의 전당에 입성해 있습니다. 제가 롤모델로 삼고 있는 스타 쥐 선배님은 전사 촉진제 중 하나인 ‘Fryl’ 유전자를 제거했죠. 그런데 오디션 과정에서 콩팥이 커지는 현상이 발견됐습니다. 스타가 되려고 하니 일이 술술 잘 풀리더라구요. 인간 과학자들이 꾸준히 연구해서 콩팥이 커지는 이유를 ...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일으켜 낫 모양의 적혈구가 생성돼 심각한 빈혈을 유발하는 겸상적혈구빈혈증, 중추신경계가 파괴되는 테이삭스병(Tay-Sachs disease) 등 이전에는 꿈도 꾸지 못했던 유전질환 완치에 희망이 생긴 것이다. 시퀀스가 무작위로 바뀐다?프라임 에디팅을 유전질환 치료에 바로 적용할 수 있을까. 프라임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가지 못했다. 자격루는 만든 지 21년 만인 1455년(단종 3년) 2월에 자동 시보 장치의 사용이 중지되면서 그 기능을 잃었다. 장영실이 없으니 고장이 나도 고칠 수가 없었다. 한 사람이 이룩한 과학, 그래서 후대로 이어지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 과학을 이룩한 장영실을 기억하자 ... ...
- [매스크래프트] 할그림스키르캬, 마크로 적분 배워봤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으아앗! 아름다워! 너무 그럴싸하지 않나요? 제가 완성하고도 놀랐다니까요? 그런데 왜 유명하지도 않은 할그림스키르캬를 만들었냐고요? 수학과 출신인 퓨처킴 눈에는 수학과 관 ... 여러분이 마크할 땐 수학동아 ‘퓨처TV’를 펴고 당당하게 외치세요. ‘엄마, 나 수학 공부 중이야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좋은 문제 찾는 게 문제!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논문을 읽고 공부해 얻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른 수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얻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서 수학자들은 어떤 식으로든 교류하려고 하는데요, 주로 학회나 워크숍, 세미나 등을 통해 다른 수학자와 소통합니다. 교류를 멈춘 수학자는 곧 도태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
- [이달의 책]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포장지 정보는 없다. 비교적 안전해 음식 포장에 많이 쓰는 페트(PET)도 열에 노출되면 중금속인 안티몬을 배출한다. 이외에도 각종 유해물질 첨가제가 들어간 플라스틱이 얼마나 안전한지는 미지수다. 저자는 플라스틱의 성분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도 제시한다 ... ...
이전342343344345346347348349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