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일정
스케줄
예산
기획
안
방책
d라이브러리
"
예정
"(으)로 총 4,02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있다. 즉 1990년에 발사된 허블망원경, 감마선천문인공위성, 그리고 앞으로 발사될 (1996년
예정
) AXAF(Advanced Xray Astrophysics Facility)와 SITF(Space Infrared Telescope Facility)가 대표적인 예다. 그러나 이런 망원경들은 인공위성이 가지는 여러가지 제약조건으로 성능에 상당히 ...
1999년 완공될 프리덤계획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금세기 말 최대의 우주개발 목표인 미국의 우주정거장 개발 계획에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다. 미국 의회가 계속 예산을 깎고 있기 때문이다. ... 4백60km 지점에 건설될 NASA의 우주정거장(프리덤)은 1999년부터 본격적인 운용에 들어갈
예정
이지만, 계획이 어떻게 마무리될지 험난하기만 하다 ... ...
1. 1천m이상 「수직도시」구상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거대공간이다. 주 구조물은 1만kg/㎠의 고장력강이 예상되며 초고강도콘크리트도 쓰일
예정
이다. 이 프로젝트는 다케나카(竹中)건설회사와 환경시스템연구소가 추진중이다 ... ...
5. 수첩크기 3백g짜리 초소형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직접 펜으로 입력할 수 있는 노트패드 컴퓨터 개발에 착수, 앞으로 5년 이내에 실용화할
예정
이다.인공지능기술이 선행돼야컴퓨터 축소연구는 축소에 관한한 재능이 많은 일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형전축의 카세트 크기화, 여권크기의 비디오 카메라 개발에 성공한 일본 기업들은 개인용 ... ...
차세대 풍력발전기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또 내년에는 5대호의 하나인 온타리오호 주변에도 두기의 풍력발전기가 가설될
예정
.아무튼 이 새로운 장치는 풍력의 사용범위를 크게 넓힐 것으로 기대된다. 결국에 가서는 미국 중서부의 광활한 평원에서도 풍력발전기의 날개를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바람이 세지고 약해짐에 따라 날개의 속도가 ... ...
3. 멀티유저와 다중처리가 가능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에 해당하는 기능을 보강하고 이어 다중처리 실시간처리 등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개발할
예정
이다.이제까지 보아 왔듯이 PC용 운영체제는 인간을 포함한 정보처리자원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방안들 이외에도 다수의 PC를 선별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 ...
4. 초보자도 자신감을 갖게 해준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야심작 윈도즈다. 윈도즈는 벌써 버전 3.0을내며 (한글 윈도즈 3.0도 곧 나올
예정
) 1천여개가 넘는 응용프로그램을 자랑하고 있다. 물론 아직은 이렇다할 한글윈도즈용 응용프로그램이 없는 형편이지만 윈도즈 같은 GUI의 장점중에 하나가 응용프로그램들이 사용자와의 정보교환을 직접하지 않고 GUI를 ... ...
조각가 김오성씨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전북 부안 변산에 세워질 조각공원내의 천문대(금년말 완공
예정
)의 주요 장비로 활용될
예정
이다.이 천문대는 중학교 졸업 이후 줄곧 독학으로 공부해온 김씨가 고향의 어린학생들에게 자연을 접할 수 있는 계기를 하나 만들어주기 위해서 사재를 털어 짓고 있다. 돌담을 쌓고 돔을 만드는데만 3, ... ...
1%만 절약하면 제주도에서 2년 쓴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급격하게 증가되는 반면에 신규 발전소는 1993년에야 전력계통에 투입되어 전기를 공급할
예정
이기 때문에 금년과 내년에는 전기의 부족현상이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국민 모두가 전기를 아껴 쓰고 앞에서 소개한 여러가지 절전기술들을 적극적으로 활용 한다면 이러한 어려움도 슬기롭게 ... ...
4.7종의 기체가 대기를 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추세로 온실기체가 많아진다면 2035년에는 3.5W/㎡를 나타내고 60년 후에는 7.2W/㎡를 기록할
예정
이라는 것이 미국의 기상학자 미첼(Mitchell)의 계산이다. 그러나 이 수치는 대류권내 오존의 증가와 성층권 오존층의 파괴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지난 해 NASA의 위성학자 피시맨(Fish-man)이 수행한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