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인의 초상 제4화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내게 전화를 걸었던 밤 11시부터 정확히 55분이 흐른 뒤였다. 래빗은 허리가 굽은 소나무
아래
웅크리고 앉아서 무엇인가를 열심히 만드는 중이었다. 그는 어둠 속에서 진흙 인형 만들기에 열중한 듯하다. 소나무에 너무 바짝 기대앉아서 회색 잠옷 등에는 온통 송진이 찐득거렸다.물기가 많은 흙을 ... ...
뉴질랜드에서 잡힌 대형 오징어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빙초산 또는 아세톤에 녹여 알코올을 흡수시켜 겔상(gel狀)으로 만든 것 등이 있다눈금
아래
부분에서 관을 직각으로 구부러지게 한 수은온도계 주로 얄은 곳의 지중온도계로서 눈금 부분을 지표에 수평으로 놓고 사용한다관이 굽어진 곳에서 구 부분까지가 수cm에서 30cm 정도까지의 여러 종류가 ... ...
원자세계 직소퍼즐 주기율표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성질을 예측하는 통찰력을 보였다. 그는 주기율표에서 알루미늄(Al)과 규소(Si) 바로
아래
들어갈 원소가 곧 발견될 것으로 보고 각각‘에카알루미늄’과‘에카규소’라는 이름을 붙였다.특히 그는 에카알루미늄의 밀도를 5.9~6.0으로 예상했는데, 1875년 발견된 이 원소의 밀도는 5.96이었다. 현재 ... ...
난류 타고 훨훨 나는 박쥐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또 꽁지가 없어 공기가 뒤로 자연스레 흘러가지 않고 소용돌이를 만든다.새는 공기를
아래
로 밀어내며 날기 때문에 상승기류가 없으면 제자리에 떠 있거나 느리게 날기 힘들다. 그러나 박쥐는 날갯짓을 할 때마다 날개 뒤로 난류가 생기기 때문에 이를 타고 하늘에 더 오래 머물 수 있다. 헤든스트롬 ... ...
언어가 색상 인식에 영향 끼쳐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사용하지만 나머지 25명은 러시아어를 몰랐다. 3가지 색이 모두 채도가 같은 경우와
아래
에 있는 2가지 색의 채도가 서로 다른 경우를 나눠서 실험한 결과 서로 다른 채도를 가진 2가지 색이 제시됐을 때 러시아어를 아는 사람들은 색이 다른 하나를 찾아내는 속도가 3가지 색이 모두 같은 경우보다 10% ... ...
PART1 퍼즐처럼 연결된 초분자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이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쿠커비투릴은 가운데 구멍이 뚫린 원판형 분자인데, 위
아래
를 잘라내고 속을 긁어낸 호박을 생각하면 된다.연구팀은 우선 작용기를 여러 개 지닌 쿠커비투릴 분자를 준비했다. 그리고 이들을 서로 이어줄 분자를 용액에 녹이고 자외선을 쪼였다. 그러자 지름이 100nm ... ...
까칠까칠 황사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굵기의 10분의 1정도 크기예요. 보통 20㎛보다 큰 입자는 바람을 타고 조금 올라가다 다시
아래
로 떨어지지만, 이보다 작은 알갱이는 쉽게 떠올라 바람을 타게 되지요. 이렇게 중국 대륙에서 떠오른 먼지 알갱이들은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로 날아오는데, 발원지에 따라 우리나라에 오기까지 1~5일이 ... ...
에이즈 치료하는 알약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속칭 수산화나트륨(가성소다)·수산화칼륨(가성칼리) 등을 가성알칼리라고 한다 성대
아래
의 기관점막(氣管粘膜)이 갑자기 심하게 붓기 때문에 기관의 내강(內腔)이 좁아져 생기는 상태 가성 위막성후두염(假性僞膜性喉頭淡)이라고도 한다 가소성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특수한 내화물 내화 점토를 ... ...
중력의 마술, 서커스 퀴담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때 딛고 있던 바닥이 위로 솟아오르면 그 높이의 제곱만큼 더 높이 올라갈 수 있다. 대신
아래
를 받치는 장정들의 무게는 올라간 사람의 무게보다 월등히 커야 한다. 농구공과 야구공의 예처럼 운동량은 질량과 비례하기 때문이다.뱅퀸 공연을 끝으로 퀴담은 막을 내렸다. 연기자들은 관객의 계속된 ... ...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개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꼭대기(고도 15km)에서 가느다랗게 솟구치는 메가번개다. 보통 초속 100km로 전리층 바로
아래
인 고도 40~50km까지 도달한다. 블루 제트는 0.1~1ms 정도 지속돼 스프라이트보다 빨리 사라지고 스프라이트와 달리 지상 번개와 연관이 없다.블루 제트가 생기는 원인을 우주에서 날아오는 중성미자에서 찾는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