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얼음교관 '카블미온 혼나'의 혹독한 훈련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제가 너무 곱게 키운 것 같습니다. 제발 잘 부탁드립니다.”일본에서 얼음 공장을 하는 한 신사가 썰렁홈즈에게 의뢰를 했다. 하나밖에 없는 아들이라고 너무 곱게만 키워 버릇이 없다는 것. 아들이 정신을 차리도록 교육을 시켜 달라는 부탁이었다. 썰렁홈즈는 특별교육을 위해 특별한 교관을 불 ... ...
[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이렇게 키운 박테리아에 들어 있는 인의 양은 정상적인 수준보다 적었다. 울프 사이먼
박사
는 “이 정도 양의 인으로는 박테리아가 살 수 없다”며 “이는 박테리아가 비소를 인처럼 이용한다는 사실을 암시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연구팀은 비소의 동위원소를 이용해 비소가 박테리아 내부에서 ... ...
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한 편만으로는 확실한 결론을 내릴 수 없다고 평가하고 있다. 연구를 이끈 울프-사이먼
박사
는 “이런 논쟁에 뛰어들고 싶지는 않다”며 “모든 의견은 논문을 심사할 때와 똑같은 심사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이 문제점을 보완해 주장을 검증하는 데 성공할지, 아니면 비소 ... ...
타이탄에서 얼음화산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탐사선은 타이탄 상공 1500km에서 공전하고 있다.카시니 탐사선 레이더 팀의 랜디 커크
박사
는 “카시니에 실려 있는 레이더와 적외선 장비를 이용해 흐릿한 대기를 뚫고 타이탄 표면의 위상 정보와 물질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며 “이런 자료를 모아 타이탄 지표를 3D로 재구성했다”고 설명했다 ... ...
야생조류의 동성애 원인은 수은?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수도 있다는 실험 결과가 나왔다.미국 플로리다대의 생태학자인 피터 프레드릭
박사
팀은 백색 이비스(따오기의 일종)를 관찰한 결과 메틸수은(MeHg)에 많이 노출될수록 번식률이 낮고 동성 간에 짝짓기 하는 경향을 나타냈다고 ‘영국왕립학술원회보 B’ 12월 1일 온라인 판에 발표했다.연구진은 16 ... ...
박테리아 잡는 플라스마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온도가 높고 나머지 입자는 상온을 유지한다.연구팀을 이끈 스베틀라나 에르몰라예프
박사
는 “저온 플라스마는 사람의 피부 조직에 해를 끼치지 않지만 박테리아의 DNA와 표면 구조에는 손상을 입힌다”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바이오필름에 둘러싸여 있는 박테리아를 죽일 수 있다는 ... ...
타짜는 타고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국적이 다른 19~27세 남성 83명을 대상으로 140번의 모의투자 실험을 진행했다. 프리드먼
박사
는 “도박에 가까운 승부(승률 50%)를 거는 사람은 대부분 MAOA-L형 유전자였지만 전후관계를 파악해 유리하다고 판단될 때만 돈을 걸었다”며 “이 유전자를 가진 사람이 꼭 비생산적이고 폭력적이지만은 ... ...
NASA, 3D 달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경도를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극지를 더 많이 지난다.뉴먼
박사
는 “앞으로 2년 동안 관측을 계속할 예정”이라며 “달 극지에서 GPS수준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사이언스, 21세기 10년간 ‘10대 연구’ 선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규명한 사실을 꼽았다. 2004년 미국 캘리포니아 공동유전체연구소 에드워드 루빈
박사
팀은 쓸모없어 보이는 쓰레기 유전자가 10%의 ‘현역’ 유전자가 작동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아 냈다. 천문우주 분야에선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무인탐사로봇 스피릿과 어퍼튜니티를 이용해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네이처에 말했다. 결국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가임 교수와 노보셀로프
박사
가 참석한 가운데 예정대로 시상식이 열렸다.당분간 그래핀 분야에서 새로운 노벨상이 나올 가능성은 높지 않다. 만약 추가로 상이 나오려면 새롭고 뛰어난 파생 연구 분야가 나와야 한다. 하지만 그런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