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섭씨 온도를 만든 셀시우스 태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잴 때 우리는 ‘섭씨(℃)’라는 단위를 사용해요. 그런데 섭씨가 온도 체계를 만든 과학자의 이름에서 따왔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섭씨(攝氏)는 ‘셀시우스씨’를 한자로 쓴 표현이에요. 섭씨 온도를 만든 스웨덴의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안데르스 셀시우스’의 이름이지요.안데르스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방광(膀胱, bladder) , 네트워크(network)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 과학마녀 일리야. 오랜만에 친구들이랑 등산을 갔는데 너무 힘이 드는 거야. 그래서 물을 좀 많이 마셨더니, 내려오는 길에 오줌이 마려워서 혼났어. 정말 방광이 터지는 줄 알았다고! ●방광(膀胱, bladder) 오줌은 우리 몸속에서 발생한 여러 노폐물들이 녹아 있는 용액이에요. 암모니아 등 핏속에 ... ...
- 노벨생리의학상│ 바이러스 사냥꾼들, C형 간염의 범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것도 문제”라고 말했어요.다행인 것은 진단법과 치료제가 개발됐다는 점이에요. 이는 과학자들이 C형 간염 바이러스를 찾아냈기 때문이에요. 이번에 노벨상을 받은 하비 올터 부소장은 1972년 수혈을 받은 환자들이 간염을 겪는 이유를 추적하다, A형과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없다고 밝혀진 ... ...
- 뇌 안에선 무슨 일이? 생각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뇌가 하는 생각Part3.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참고(니콜라우스 뉘첼, 위르겐 안드리히, 비룡소, 2009), (김대식, 문학동네, 2014 ... ...
- [시사과학] 노벨 평화상의 주인공은? 유엔 세계식량 계획!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전 세계가 들썩여요! 노벨상의 수상자가 발표되기 때문이지요. 노벨상은 스웨덴의 과학자인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인류의 복지에 공헌한 사람이나 단체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문학, 화학, 물리학, 생리학 또는 의학, 평화, 경제학 등 6개 부문에 대한 수상이 이뤄져요. 올해 평화상을 받을 ... ...
- [시사과학] 티라노사우루스 화석 ‘스탠’, 무려 368억 원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하는 화석을 아예 구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지요. 심지어 수집가가 차지한 화석 표본은 과학자들에게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연구가 진행될 수도 없어요.서울대학교 고생물학 연구실의 이성진 연구원은 “이번 경매가 장기적으로 일으킬 파장이 더 걱정된다”며, “스탠이 엄청난 가격에 ... ...
- 노벨화학상│생명과학에 혁명을!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2012년 만들어진 3세대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생명공학자들의 연구를 혁신적으로 개선시켰어요. 동식물의 유전자를 자르거나 변형을 주는 것 ... ‘크리스퍼-cas9’로 붙였으며, 훗날 동식물에서도 성공적으로 작동한다는 게 세계 곳곳의 과학자를 통해 밝혀졌답니다 ... ...
- [과학뉴스] 세계 최강 물곰, 자외선도 견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0월 14일, 인도과학연구소 산디프 에스와라파 박사팀은 자외선에 노출돼도 끄떡없는 ‘파라마크로비오투스 뱅갈루루’ 물곰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이 물곰에게 자외선을 쏘자, 물곰은 파랗게 빛났어요. 이 파란 형광 색소를 제거한 뱅갈루루 물곰이 자외선에 노출되면 죽었지요. ... ...
- 어과동 16주년 팬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인사를 잊지 않으셨답니다. 박동현 작가님의 “나를 그려줘요~!” 3부의 주인공은 과학마녀 일리와 푸푸를 담당하고 있는 박동현 작가님이었어요. 팬파티에 참가하고 있는 독자 친구들 중 한 명과 전화로 연결하는 특별한 시간이었지요. 자신의 모습을 말로 설명하면, 박동현 작가님이 설명만으로 ... ...
- [한장의 과학] 블랙홀, 별이 스파게티처럼 쭈욱~, 늘어났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부서졌어요. 이렇게 부서진 별은 블랙홀의 인력으로 마치 국수처럼 길게 늘어났지요. 과학자들은 이 현상을 ‘국수 효과’, 또는 ‘스파게티화’라고 불러요. 별은 길게 늘어나면서 전체 질량 중 약 절반만 블랙홀로 흡수되었고, 나머지 절반은 부서진 채 블랙홀 바깥으로 흩뿌려졌어요. 이 과정에서 ... ...
이전342343344345346347348349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