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양
해양
망망대해
바다
원
원양
넓은 바다
d라이브러리
"
대해
"(으)로 총 6,50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지능학자 커츠와일 '매트릭스 실현가능성 높다' 예측
과학동아
l
200307
인간의 지능을 능가하는 인공지능이 등장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인간의 뇌에
대해
완전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커츠와일은 2030년이면 등장할 초소형 로봇인 나노봇(nanobot)을 이용하면 인간의 뇌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나노봇은 사람의 모세혈관에 들어가 활동할 만큼 작은 ... ...
2 외계생명체 찾는 첨단로봇들의 화성침공
과학동아
l
200307
선정한 것이다.특히 NASA의 과학자들과 공학자들은 쌍둥이 로봇을 착륙시킬 장소에
대해
1백55개의 후보지를 놓고 2년 동안 격론을 벌였다. 마침내 NASA는 최종 착륙지점 두곳을 결정해 지난 4월 11일 발표했다. 먼저 화성으로 향한 스피릿이 착륙할 장소는 화성 적도 바로 남쪽에 위치해 있는 구세프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07
분별력이 좋은 ‘SSCP’라는 방법을 써야 하나, 사설 업체에서 이 방법을 쓰고 있는지에
대해
서 강한 의구심을 나타냈다. SSCP는 제한효소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중가닥으로 된 유전자를 단일가닥으로 푸는 방법을 이용한다. 단일가닥으로 풀린 유전자는 이내 자체적으로 결합해 3차원 구조를 ... ...
노안 부르는 수정체 변화
과학동아
l
200307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헬름홀츠 박사와 샤카 박사의 두 가설 모두 노안에
대해
완벽하게 설명하지는 못하고 있다.돋보기안경을 쓰거나 수술로 치료40세가 되면 수정체의 굴절력이 10세 때보다 약 3배, 45세가 되면 약 4배 낮아진다고 한다. 물체의 상이 망막 뒤에 맺혀 가까운 곳이 잘 ... ...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07
장착돼 가동중이다. 현재 사과 배 복숭아 감귤 단감 수박 참외 멜론 등 국내 주요 과일에
대해
당도나 산도, 그리고 내부이상을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있고, 새로운 과일이나 그 품질인자를 계속 연구중이다.과일의 비파괴 생체 계측기술은 현재 소비자들의 인식이 아직 미흡하지만 향후에는 ... ...
목성 위성의 얼음 두께는 25km
과학동아
l
200306
1백km보다 얇지만, 그래도 뚫고 들어가기에 쉽지 않은 정도다. 현재 유로파 탐사선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과학자들은 보스토크 호와 같은 남극의 얼음 호수를 탐사하면서 공학적인 기초기술을 개발중이다.한편 과학자들의 소원이던 유로파 탐사계획은2003년 미항공우주국(NASA)의 예산에서 제외된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06
1998년 연세대 천문우주학과의 변용익 교수에 의해 기획된 작품이다. 기획 의도에
대해
변용익 교수는 “한국 천문학의 투자나 인력 환경이 열악한 상황에서 남들이 못하는 새로운 연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없을까 라는 고민에서 출발했다”고 설명한다. 그래서 고안해낸 연구가 광역 탐사다. ... ...
과학 전도사들의 눈높이 강연 2백 47회 달성
과학동아
l
200306
필요성이 논의되기도 했다.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사업을 알리고, 강연 대상과 지역을 확
대해
과학기술문화 대중화의 선구자로서 최선을 다하자는 의견으로 회의는 마무리됐다.회의에 앞서 실시된 과학기술 앰배서더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대부분의 과학기술 앰배서더들이 사업을 ... ...
생명공학이 주무르는 맛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06
물질이 갖는 고유한 맛은 어떻게 결정되는지, 그리고 맛을 어떠한 경로로 느끼는지에
대해
서 최근에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맛을 느끼는 과정은 맛을 가진 분자가 혀에 존재하는 맛 수용체에 결합하면서 시작된다. 혀에는 4가지 종류의 유두가 있다. 이중에서 크기가 가장 작고 많이 존재하는 ... ...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06
환경에서도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산소포화도가 어떻게 이처럼 높아졌는지에
대해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한다.그 해답은 산소가 아니라 질소에 있을지 모른다. 신시아 빌 박사는 2001년 11월 ‘네이처’에 고산지대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인체 내의 산화질소(NO)가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