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9건 검색되었습니다.
책을 펼치지 않고도 읽는 ‘독책술’
과학동아
l
2016.10.13
않고도 책 속 내용을 읽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9월 9
일자
에 발표했다. MIT 미디어랩 바르막 헤쉬멧 연구원팀은 적외선과 라디오파 사이의 전자기파 영역인 ‘테라헤르츠 라디오파’를 이용했다. 서로 다른 화학물질은 저마다 테라헤르츠파를 흡수하는 영역대가 다르고, ... ...
집 먼지 속 유해물질 이렇게 많다니!
과학동아
l
2016.10.12
있는 유해 화학물질의 종류가 45가지나 된다는 연구 결과를 ‘환경과학및기술’ 9월 14
일자
에 발표했다. 이 중에는 암과 불임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이 다수 포함돼 있었다. 연구팀은 미국 14개 주에서 집 먼지를 모아 분석한 26개의 논문을 재분석하는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유해 ... ...
페트병 소재 대체할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나왔다
2016.10.11
박오옥 KAIST 교수팀은 식물에서 추출한 퓨란계 플라스틱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 KAIST 제공 음료수병을 만드는 데 쓰이는 플라스틱 ‘페트(PET)’를 ...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화학분야 학술지 ‘그린 케미스트리(Green chemistry)’ 10월 7
일자
에 발표됐다. ... ...
신소재 그래핀 성능 떨어뜨리는 원인은 ‘주름살’
2016.10.11
문주희 연구원이 구리 기판 위에 합성한 그래핀을 들어 보이고 있다.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제공 신소재 ‘그래핀’은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고, ... 새로운 길을 연 셈”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나노레터스(Nano Letters)’ 3
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 ...
대마초 피우면 돈 벌 의지 사라져
과학동아
l
2016.10.11
GIB 제공 대마초를 피울 때 나타나는 각성 효과가 일을 해서 돈을 벌겠다는 의지를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팀은 일 ... 있었지만, 실험을 통해 증명된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정신약리학’ 저널 9월 2
일자
에 실렸다 ... ...
난치병 치료 희망 ‘줄기세포’ 대량으로 키운다
2016.10.11
3인치 수직형 실리콘 나노기둥 구조(좌)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군체(우) 형성을 촉진한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 제공 난치병 치료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줄기세포 ...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나노기술 분야 학술지 ‘나노스케일’ 9월 16
일자
에 게재됐다 ... ...
칭기스칸이 원래 서양인이었다고?
2016.10.11
중앙대 제공 인류 역사상 가장 광활했던 제국을 지배했던 몽골의 ‘칭기즈칸’이 뿌리가 서양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내 연구진이 내놨다. 연구진은 이번 발굴성 ... 비밀의 문을 여는 열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9월 14
일자
에 실렸다. ... ...
‘차에 낀 흰머리 독수리’ 발견돼
2016.10.10
사진은 미국 플로리다 클레이 카운티의 보안관이 촬영해 페이스북에 공개한 것이다. 현지
일자
지난 토요일 달리던 자동차에 부딪힌 독수리는 차 그릴에 끼고 말았다. 경찰 등이 이 독수리 사진을 촬영하고 구해냈는데, 독수리를 날카로운 눈빛을 잃지 않고 주변을 경계했다고 한다. 차에 치였지만 큰 ... ...
고산증 극복하고 말라리아에도 저항… 환경적응 유전자 ‘총정리’
동아사이언스
l
2016.10.09
티베트인의 돌연변이처럼 인간이 거주환경에 적응한 사례들을 모아 ‘사이언스’ 7
일자
에 리뷰 논문을 실었다. 다른 민족보다 우유를 일찍부터 먹기 시작한 중동에선 성인이 되어서도 젖당을 잘 분해하도록 유전자 변이가 일어났고, 말라리아가 창궐하는 아프리카에선 적혈구가 초승달 모양으로 ... ...
바닷새가 물고기 잡으며 다이빙해도 죽지 않는 이유
2016.10.09
목 근육을 최대한 수축하는 것도 발견했다. 본래 S자 형태로 늘어져 있던 목을 수축시켜
일자
형태로 만들어 수면에서 받는 충격을 줄인 것이다. 이는 수중에서도 마찰력을 줄여 정확하게 타깃 먹이를 잡는 데도 도움이 된다. 연구진에 따르면 인간은 부비새보다 튼튼해 보이지만, 다이빙에는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