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의
논쟁
토론
의논
협의
논증
협상
뉴스
"
논의
"(으)로 총 3,97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지식IN] 연초형 일반 담배 VS 궐련형 전자담배, 건강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전자담배 사용자는 그 절반밖에 안 내는 거죠. 액상형과 궐련형 전자담배 역시 사회적
논의
를 통해 그 유해성에 상응하는 세금을 걷도록 해야할 것 같네요. ... ...
몬산토, 유전자변형GM 비판에 응답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3
봐야 한다. 미국에서는 생명공학(BT) 옥수수가 처음 나왔을 때 잠시를 빼고는 비교적
논의
가 적은 편이었는데, 7~8년 전부터 다시 시작됐다. 이때 동물 복지 등 다른 이슈가 제기되면서 함께 나왔다. 물론 작년에 노벨상 수상자들이 나서서 “GM에 대한 비과학적 낙인을 지우자”고 성명을 발표하는 등 ... ...
중국발 핵 황사, 한국은 안전한가?
동아사이언스
l
2017.11.11
상황이 올 수 있다”며 “이른바 ‘핵 황사’라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대응체계는
논의
조차 안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진영우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장은 “중국에서 원전사고가 날 경우 한국에 도달하는 방사선량은 1mSv 이하로 인체에 영향이 없는 수준일 것”이라며 ... ...
"한국 에이즈 증가, 메르스 창궐 등 감염병 안전지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시작했다. 15일에는 20주년 기념 포럼을 열어 그간의 성과를 돌아보고 향후 연구 주제를
논의
할 계획이다. 백신 개발을 위한 연구 기금 확보는 쉽지 않은 문제다. 백신을 개발할 역량이 있는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장티푸스나 콜레라, 이질 같은 질병이 거의 사라졌기 때문이다. 감염병 백신 개발의 ... ...
“신재생에너지 확대하려고 원전 없앨 필요는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7.11.08
고리 1호기가 영구 정지됐다. 건설이 잠정 중단됐던 신고리 5, 6호기는 공론화위원회
논의
를 거쳐 건설을 재개하기로 했지만 설계수명을 연장해 가동 중인 월성 1호기는 가동이 중단될 예정이다. 이날 원자력 분야 전문가들은 신재생에너지와 원전을 양립시키면서 급하게 탈원전을 추진해선 안 ... ...
물리학계 최대 숙제 “우주의 지배자 ‘암흑물질’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7.11.03
암흑물질의 후보로 여러 가상 입자를 제시했다. 그 가운데 세 가지가 최근까지 활발히
논의
되고 있다. 액시온은 그중 하나로 1979년 김진의 경희대 석좌교수가 제안했다. 김 교수는 당시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던 가설 속 입자를 재해석해 이 입자가 우주 전체에 퍼져 존재하며 강력한 중력을 ... ...
젊은 과학자 독립적 연구환경 조성은 전세계 공통 과제
동아사이언스
l
2017.11.01
많은 일본과 한국이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젊은 과학자 연구활동 진흥 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내년 초까지 이를 완성해 양국 정부에 공동으로 제안해 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 참석한 임대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젊은 과학자가 단계별로 ... ...
국감에서 나온 네이버 이해진 창업자의 깜짝 발언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7.10.31
이들의 예상과 다른 답변이었다. 네이버를 비롯해 인터넷 업체들은 모두 방발기금징수
논의
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이 창업자의 이같은 발언은 카카오 등 관련 업계를 깜짝 놀라게 했을지도 모른다. 이 창업자의 깜짝 발언은 이뿐만이 아니었다. 이 창업자는 검색 알고리즘을 공개할 가능성도 ... ...
‘고령화 대응’ 머리 맞댄 노벨상 수상자 5인
동아사이언스
l
2017.10.31
공동 주최한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의 이명철 원장은 “고령화 시대에 대한 해법을
논의
한 이번 행사가 과학기술과 대중이 소통하는 매개체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림원은 이날 행사를 계기로 10월 30~11월 1일을 ‘2017 한국과학주간’으로 명명하고 ‘세계 과학한림원 서울포럼’과 ‘영 ... ...
“北 핵실험으로 풍계리에 지름 100m 싱크홀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17.10.27
자리를 마련했다. 북한의 핵실험 여파를
논의
하기 위해 국내 과학자들이 공식석상에서
논의
를 펼친 건 이번이 처음이다. ● 풍계리 인공지진 원전이 흔들릴 정도의 크기 풍계리 핵실험장 갱도 입구(흰색 원)의 위치. - 기상청 제공 이날 전문가들은 북한의 6차 핵실험은 5차에 비해 폭발력이 12.8배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