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527건 검색되었습니다.
- 韓-美-日에 네덜란드까지 가세…‘미니 장기’ 오가노이드 치료제 시장 먼저 잡아라동아사이언스 l2021.04.05
- 계획이다.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제공 ○ 오가노이드로 신약 시험 한국에선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장, 간, 심장 오가노이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2018년에는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이용해 사람과 가장 비슷한 소장 오가노이드를 세계 최초로 내놨다. 손미영 생명연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 ... ...
- [의학바이오게시판] 강남세브란스병원 진료협력센터 소통채널 개설 外동아사이언스 l2021.04.05
- 소재, 조직 공학, 면역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분야 등이 포함된다.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는 5일 아름다운재단과 ‘2021 여성장애인 날개달기’ 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여성장애인 맞춤형 보조기기 지원사업으로 올해로 2년차를 맞았다.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서울과 ... ...
- [랩큐멘터리]데이터와 웨어러블 센서가 이끄는 축구 혁명 동아사이언스 l2021.04.03
- 대부분 EPTS를 사용할 정도로 축구팀에 빠져서는 안될 장치가 됐다. 정윤영 전자전기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플렉서블 반도체 연구실은 대한축구협회와 함께 EPTS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외국 업체의 성능을 훨씬 뛰어넘는 세계 최고 수준의 ETPS 장치를 우리 기술로 만들기 위해서다. 지난해 12월에는 ... ...
- [랩큐멘터리]수학과 컴퓨터과학이 여는 촉매와 소재의 신세계동아사이언스 l2021.04.02
- 덩어리 형태여서 덩어리 안쪽 백금 원자는 반응에 참여할 수 없다. 포스텍 화학공학과 한정우 교수 연구실은 계산화학 기법을 이용해 티타늄-탄소로 이뤄진 특정 구조의 지지체를 이용하면 백금 원자를 각각 떨어뜨려도 응집하지 않도록 해주는 것을 예측한 후 실제 실험을 통해 이를 검증해 백금 ... ...
- 제4의 물질 ‘플라즈마’로 액체-기체 경계면 안정성 높인다동아사이언스 l2021.04.02
- 기체 경계면의 안정성을 높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KAIST 제공 최원호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팀은 "헬륨(He) 기체를 고전압으로 이온화시켜 플라즈마로 만들어 물 표면에 뿌리면 기체를 뿌렸을 때보다 물 표면의 안정성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일 밝혔다. 기체를 액체 표면에 ... ...
- 과학기술자문회의 4기 출범 …탄소중립·공공 R&D 자문동아사이언스 l2021.04.02
- 부산대 대기환경과학과 교수) ▽기존 박종구(나노융합2020산업단장) 성백린(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 손병호(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선임연구위원) 주원(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
- [과기원은 지금] UNIST, 메타물질 변형기술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1.04.02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메타물질에 압력을 가해 미세구조를 변형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윤형석 연구원(공동 제1저자), 이덕형 연구조교수, 김 ... 등 기술 혁신 지원 상담창구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센터장은 이태억 KAIST 산업및시스템공학과 교수다 ... ...
- [인사] 삼성서울병원동아사이언스 l2021.04.01
- 이세훈 △유전체연구소장 박웅양 △스마트헬스케어연구소장 최동일 △의공학연구센터장 손영민 △디지털치료연구센터장 전홍진 △치매융합연구센터장 서상원 △줄기세포재생의학연구소장 장윤실 △GMP줄기세포생산팀장 장종욱 △실험동물연구센터장 정병창 △임상의학연구소장 허우성 ... ...
- [과학게시판] 과기한림원, AI 시대 인재양성 토론회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1.04.01
- 소프트웨어와 AI 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서정연 서강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도 '초중등 교과 과정 AI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를 주제로 발표한다. 권호열 정보통신정책연구원장과 이찬규 중앙대 인문콘텐츠연구소장, 이성환 고려대 AI학과 교수 등이 참여하는 토론도 진행된다. ... ...
- 3D 프린팅으로 나노미터 구조물 수천개 동시에 짓는다동아사이언스 l2021.04.01
- 미래 신소재 메타물질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만수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노준석 포스텍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100나노미터 크기의 3D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3D 나노 프린팅 기술을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31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 ...
이전3413423433443453463473483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