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타
쎈타
중심
쎈터
중앙
center
핵심
d라이브러리
"
센터
"(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환경기술 국내 최초 해외시장 진출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우리나라도 환경기술을 수출하는 나라가 됐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환경연구
센터
박완철 박사는 지난 해 8월 산업화에 성공한 중소농가용 '미생물을 이용한 축산정화조'기술을 최근 대만기업 어킹 인더스트리얼사에 계약금 15만 달러와 향후 7년동안 세금을 제외한 총 매출액 5%의 기술료를 ... ...
"이상아 출산방지하려면 이사하라"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크게 선천성이상아출산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 조사결과에는 미국 방역
센터
도 주목, 앞으로 어떤 구체적인 환경인자가 선천성이상아를 출산하는 원인이 되고 있는가를 해명할 예정이라고 ... ...
'지구 살리자' 기후협약 유명무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힘'의 논리가 여전히 이 분야에서도 관철된다는 데 있다.지난 10월 13일 경실련 환경개발
센터
가 개최한 '기후 변동 문제를 둘러싼 국제적 동향과 한국의 대응'이란 주제의 공개 토론회 역시 이같은 점을 다시 상기하도록 하는 행사로 평가된다.전 스위스 베른대학의 교수인 루카스 비셔 박사를 ... ...
1. 노벨상에 성큼 한국 과학자들 역주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달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한탄바이러스, 이호왕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
센터
이대실 박사는 90년 3월 노벨의학생리학상 위원회 사무총장인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린드스텐 박사가 내한했을 때 "한국에서 노벨상을 받는다면 누구겠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그는 담박에 고대 ... ...
[2] 미지의 생체 네트워크-질병치료에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많은 관심이 기울여져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이 이루어졌다.흥미있는 것은 중국 면역학
센터
의 풍리달 박사팀이 행한 박테리아와 암세포를 향한 외기의 영향이다. 샬레에 위 암세포(이상증식에 의해 융모가 표면을 뒤덮고 있는 것)를 두고 외기를 조사했을 때 융모가 떨어져 나가는 것이 확인됐다. ... ...
영남대(기계·소재 분야)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영남대는 이번 국책공대에 선정되기 위해 별도의 기구를 조직 운용했다. '국책지원사업단'(단장 김중엽 기계공학과 교수)이 그것인데, 소기 ... 산업기술정보
센터
산학협동연구
센터
기술교육
센터
산업기술지원
센터
창업보육
센터
가 속한 산업체 전문기술연구소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 ...
가전제품 포장재 재활용기술 개발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향기가 특징이다.개발에 앞장선 것은 일본의 유명한 가전사 소니 중앙연구소 환경연구
센터
. 소니사는 3년 전부터 스티로폼의 품질을 떨어드리지 않고 재활용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시작했다.대개 가전제품의 포장재 등으로 활용되는 발포스티로폼은 사용이 끝난 뒤에는 열처리하거나 타지 않는 ... ...
바다 속에서 솟아오른 화산섬 하와이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고래타기, 개와 돌고래와의 묘기 등 신기한 구경거리가 푸짐하다.폴리네시안 문화
센터
는 하와이를 비롯해 타이티 사모아 통가 피지 마오리 등 남태평양 여러 섬 원주민들의 독특한 생활양식과 민속공연을 구경할 수 있는 곳이다. 모르몬 교단이 운영하는 이곳은 수많은 무용수와 악사, 가수들이 ... ...
인터네트 필수상식 25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또다른 메뉴방식의 안내가 나온다. 이곳은 연구망 정보
센터
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정보
센터
다. 유즈네트에서는 alt.internet.service, alt,best.of.internet, news.answers 등을 뒤져보면 유용한 정보가 많다. 또 키즈와 같은 인터네트 비비에스의 인터네트 관련 게시판을 찾아보아도 된다.아직 인터네트를 ...
'공룡→새'친자설 뒤엎은 '새→공룡'이론 등장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아니고 '새의 자손이 공룡'이라는 주장을 하고 나선 사람이 있다. 미국 뉴욕에서 과학정보
센터
를 운영하고 있는 공룡연구가인 오르세프스키는 BCF(Birds Came First)이론을 대중과학지인 '옴니'에 발표했다. 학술지가 아니고 대중지에 발표한 이유는 결정적인 화석의 증거를 확보하고 있지 못했기 때문.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