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종래의 시냅스를 끊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특히 해마 내 치상회와, CA3라 불리는 부분
사이
의 연결은 외현기억 유지에 아주 중요한 곳이다.연구팀은 이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두 가지 실험을 했다. 먼저 어른 쥐를 수조에 넣어 목적지까지 헤엄을 치도록 훈련시켰다. 처음에 쥐는 온 수조를 헤매며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내놓은 예측과 도 일치했다. 프랑스 드니디드로대 세바스티앙 샤모 교 수팀은 ‘
사이
언스’ 논문에서 토성 고리 바깥쪽에서는 물 질이 뭉쳐 작은 위성의 씨앗이 태어날 수 있으며, 이것이 점점 밖으로 밀려날 거라고 예측했다.전문가들은 아직 조심스럽다. 심채경 경희대 우주탐 사학과 연구원은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진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올라! 브라질 월드컵
사이
언스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BRIDGE - ELO랭킹 적용하면 한국 16강 확률 높아져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 ...
아르키메데스의 기구한 운명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날이라고 부르자는 제안을 내기도 했다. [이탈리아의 줄리오 파리지가 1599~1600년
사이
에 그린 벽화. 아르키메데스가 포물면 거울로 햇빛을 모아 로마의 목조 전함을 태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햇빛을 반사시켜 로마군의 시야를 방해했다는 게 더 설득력 있다.]역사상 가장 위대한 수학자의 ... ...
들꽃이 전하는 봄 소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아름다운 풍경과 작고 귀여운 야생화를 카메라에 담아요. 산과 들에 있는 나무와 나무
사이
, 바위 틈에 피어 있는 봄위 소식을 친구들에게 보냈답니다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바위들이 있다. ➏ 카리지니국립공원의 ‘에코 리트리트’ 숙소의 야경. 숙소
사이사이
에 개미집들이 있다. 사람 사는 집보다 개미집이 훨씬 많다. 이곳은 일부러 전기를 공급하지 않는 자연친화적 운영 때문에 해만 지면 별천지가 된다. 덕분에 작은 달만 떠도 이렇게 주위가 환해진다.➐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적절하게 변하면서 투명망토의 은폐 기능을 유지했다. 김 교수는 이 연구 결과를 저널 ‘
사이
언티픽 리포트’ 올해 2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최근 여러 언론에서 보도돼 화제가 된 그 논문이다. 다양한 파장에서도 물체를 투명하게 만들다 “사실 휘거나 접는다는 사실 외에 중요한 점이 따로 있어요.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국립생태원을 방문하면 짚신나물을 만날 수 있습니다. 꽃을 보고 싶다면 7월에서 9월
사이
에 방 문해 보세요. 무쳐 먹고 튀겨 먹겠다고 뜯어 오면 곤란 해요! ▲ 봄나물 원추리는 독성이 거의 없어 살짝 데쳐 무쳐 먹거나 된장국을 끓여 먹는다. 말린 원추리로 잡채를 해먹기도 한다. 상당량의 ... ...
수증기 내뿜는 ‘화난 소행성’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물과 얼음이 존재한다는 확실한 증거라고 생각하고 있어요.세레스는 화성과 목성
사이
에 있는 소행성대에서 크기가 가장 큰 소행성이에요. 태양계에 속하는 행성이나 다른 소행성들처럼 거의 원형 궤도로 태양 주위를 돌고 있지요.수증기는 세레스의 두 지역에서 뿜어 나오고 있어요. 하지만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의 본질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곱셈이나 두 개를 집어넣었을 때 새로운 수를 만들어내는 과정일 뿐이다. 이 두 과정
사이
에 일종의 조화를 표현하는 것이 바로 분배법칙이다.그런데 분배법칙 안에서 곱셈과 덧셈은 완전히 다른 역할을 한다. 즉 A+(B X C)=(A+B) X (A+C)와 같은 등식은 절대 성립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위의 식은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