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실제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20년 화성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실험실로 큐브샛을 사용할 예정이에요. 탐사선에 큐브샛을 실어 화성에 보낸 뒤, 지구에서 챙겨간 공기와 물을 이용해 2주 동안 애기장대 씨앗을 키워 볼 예정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음료수 캔이 ... ...
- Part 5. 별처럼 반짝반짝~ 캔, 인공위성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임무도 있지요. 에어백은 실제로 탐사선이 달이나 화성을 탐사하기 위해 착륙에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예요. 캔위성이 낙하하다가 지상 4m 아래에서 에어백을 펼쳐서 안전하게 착지하면 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하는 거랍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소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3D 프린팅 기술은 우주과학, 의료, 심지어 미래 식량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보인답니다. # 기자단 친구들은 우레탄의 화학반응을 이용해 머핀을 만들기도 하고, 하드보드지를 이용해 VR 헤드셋을 만들어보기도 했어요. 다양한 체험 코너를 둘러보느라 시간 가는 줄 ... ...
- [과학뉴스] 2017년 노벨상 발표! 수상의 영광은 누구에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핵무기금지조약’이 채택되었지요. 노벨위원회는 “우리는 과거 어느 때보다 핵무기 사용 위험이 큰 세계에 살고 있다”며, “ICAN은 핵무기로 인해 벌어질 수 있는 비극적인 상황에 대해 알리고, 핵무기 폐기를 위해 노력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답니다. 한편 노벨문학상은 일본계 영국 작가인 ... ...
- Part 2. 부리, 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근육을 거의 쓰지 않았어요. 오히려 두 다리로 서 있을 때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했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홍학이 왜 한 다리로 서 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어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붉은 깃털이 새우 때문? 홍학의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가진 한자어예요. 과학에서는 주로 에너지나 빛이 나올 때 ‘방출(放出)’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요. ‘놓을 방(放)’은 사람을 회초리로 때리는 형벌을 의미하는 ‘칠 복(攵=攴)’과 여러 방향으로 퍼져나간다는 뜻의 ‘모방(方)’이 합쳐져서 만들어졌어요. 이를 해석하면 ‘사람을 먼 곳으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보물을 향해 어둠 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비상 상황에서도 빛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우주선이나 사고 현장에서 임시 조명으로 사용됐지요. 지금은 응원 도구나 액세서리 등으로도 제작돼서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답니다. 야광봉을 구부리면 ‘딱’ 하는 소리와 함께 구부린 곳에서부터 빛이 서서히 번지기 시작해요. 이건 플라스틱 막대기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꿈을 위한 소중한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태양열 에너지는 태양에서 나오는 열을 한곳으로 모아 높은 열을 만든 후, 건물 난방에 사용하거나 열교환기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어요. 태양광 에너지 외에도 신재생 에너지로는 바람으로 전기를 얻는 풍력에너지, 밀물과 썰물의 차이를 이용한 조력에너지, 땅 온도를 이용한 지열에너지, ... ...
- Part 2. 혼합현실을 만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헤드셋은 우리가 알고 있던 VR 헤드셋과 비슷하게 생겼어요. 하지만 헤드셋의 바깥쪽, 사용자의 양쪽 눈 앞에는 카메라 2대가 달려 있어서 현실 공간을 가상현실 화면에 그대로 반영한답니다. 또 적외선을 쏘아 반사되는 시간을 계산해 우리 주변에 어떤 물체가 있고, 어떻게 생겼는지 파악하지요 ... ...
- Part 5. 모래, 지켜야 할 소중한 자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쓰이고 있답니다. 하지만 슬래그는 모래보다 무거워서 높은 건물을 지을 때는 사용하지 못해요. 건물의 무게가 증가하면 그만큼 땅을 누르는 힘도 커지거든요. 앞으로 모래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을 찾기 위해 연구가 더 필요하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다가 ... ...
이전3413423433443453463473483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