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상한 기계나라의 앨리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7호
- BCI(Brain Computer Interface)라고 해요. 가장 먼저 사람의 뇌와 컴퓨터의 연결을 사용하고 있는 분야는 바로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사람이 생각으로 기계를 작동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에요. 키보드와 마우스는 물론 휠체어나 인공 팔을 뇌로 움직이는 기술이 이미 사용되고 있답니다. 가까운 미래에는 ... ...
- 서로 닮은 수학과 법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케일리와 실베스터는 둘 다 어렸을 때부터 수학에 재능을 보였다. 그러나 케일리는 수학 분야에서 직업을 잡지 못해 변호사가 됐고, 실베스터는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어려움을 겪다가 변호사가 됐다. 변호사로 일하던 둘은 서로 알게 되었고 함께 일하며 대수학을 공부했다. 그 결과 현대 대수학의 ... ...
- 불멸의 책 남긴 역사 속 과학자과학동아 l2010년 07호
- 많다.베스트셀러가 전하는 세이건의 꿈천문학자 칼 세이건(Carl Edward Sagan, 1934~1996)의 전공 분야는 태양계 행성이다. 그는 전파 망원경을 이용해 금성 표면의 온도가 500℃까지 높아진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그전까지는 금성의 표면에 대해 알려진 것이 거의 없었다. 하지만 세이건은 ...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과학동아 l2010년 07호
-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최재천 교수는 사회나 경제처럼 진화론이 새롭게 접근하고 있는 분야에 대해 진화 대신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바로 그가 국내에 처음 소개한 ‘통섭’의 개념이다. 최 교수는 “우리가 풀어야 하는 거대한 숙제들은 한 가지 학문으로 모두 설명거나 단순하게 볼 수 있는 ...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생각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뿐만 아니라, 앞으로는 어떤 실험을 하고 싶은지, 자신의 전공분야와 이번 실험을 어떻게 연관 지을 수 있는지 같은 미래 설계까지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연구 보고서 쓸 때 주의할 점 인용한 문구는 따로 표시해 표절을 예방한다 표절이란 다른 사람의 연구 결과를 마치 ... ...
- 세상을 꿰뚫는 ‘촌철살인’ 정신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읽는 사람에게 정확한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글쓰기를 말한다. 잘 쓴 글이란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같은 기준을 제시할 수 있지만, 특히 이공계 글에 필요한 조건으로 다음의 항목을 들 수 있다. ① 읽는 대상을 고려한 글 읽는 대상이 누구인지 명확해야 한다. 독자의 눈높이와 관심사, 교육 ... ...
- 수학적 사고력으로 컨설팅하다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않고 직접 개발하고 싶은 친구들은 수학과 과학을 열심히 공부하세요. 특히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있고 수학과 컴퓨터에 흥미가 있는 친구들은 IT 컨설턴트에 도전하세요 ... ...
- 인터월드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생긴 문양일까요?브누아 만델브로는 폴란드 출신의 프랑스 수학자로 프랙털 기하학 분야에 큰 업적을 남겼습니다. 프랙털이라는 용어를 만든 사람도 만델브로입니다. 프랙털은 ‘조각난 도형’이라는 뜻으로 똑같은 패턴이 반복되는 성질을 말합니다. 도형을 무한히 확대해도 패턴이 사라지지 ...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정리하며 독서감상문을 작성하는 방법이다. 이처럼 책의 내용이나 분야에 따라 독서감상문의 형식을 다양화하면 글쓰기가 훨씬 쉬워질 것이다 ... ...
- part3, 즐겁게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적절한 소재를 찾아내지 못해서이기도 하다. 평소 다양한 독서활동을 하면서 관심 분야를 넓히고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이나 자신의 의견을 글로 정리해두면 이러한 소재 고민에서 탈출할 수 있다. 요즘은 과학자에게도 글쓰기 능력이 필수다. 자신의 연구 계획을 얼마나 잘 알리는가, 연구의 가치를 ... ...
이전3413423433443453463473483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