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산
회계
셈
산출
원가계산
원가
합산
d라이브러리
"
계산
"(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여는 행복한 미래생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내 이름으로 된 장바구니에 모두 담겨 있다. 할인점에 커다란 카트가 사라진 지 오래다.
계산
도 휴대전화를 갖다 대면 끝이다. 즐거운 사무실 만든다사무실에 앉아 있는 것이 즐겁다. 정말? 당연하지. 글로 쓴 e메일은 안녕. 동영상과 음성이 담긴 e메일이 사람과 사람 사이를 잇는다. 다른 층에 있는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소행성을 관측할 기회는 2006년과 2029년 두 번 밖에 없다. 2029년까지 충돌 가능성을 잘못
계산
하면 지구에 충돌할지도 모를 2036년까지 대책을 세우기가 매우 어렵다.다행히 소행성 2004MN4은 궤도를 바꾸기가 비교적 쉽다. 우주선이 도달하기 쉬운 거리에 있어 기술적으로 달보다 착륙이 쉽다. 소행성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시뮬레이션 할 예정이다. 그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물질의 결정구조를
계산
하고 예측하는데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얘기했다.요즘 김 교수는 자신이 개발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해 단백질 데이터 전체를 분석하고 있다. 데이터 분석이 끝나면 이를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해내는 KHM 암산법이 등장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지금의 19단을 넘어 100단에 가까운
계산
법이었다. 그러나 이 암산법은 금새 사라졌다. 한 수학 교사는 “수학을 전공한 사람 중에는 19단이 효과가 높다고 말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며 “상업적인 유행이 끝나면 19단도 곧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것과 같은 경험이 가능해진다.형태를 인식하는 과정만 보더라도 뇌에서 매우 복잡한
계산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처음에는 신경세포들이 작은 시각 영역의 빛 강도에 따라 흥분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뉜다. 이들로부터 정보를 받은 다음 단계의 신경세포들은 좀더 넓은 영역의 ... ...
과학으로 승부한다, 아디다스 원 넘버 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측정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20MHz 컴퓨터로 센서의 데이터를 1초에 500만번씩 읽고
계산
한다.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터는 헬리콥터 날개보다 더 빨리 돌아가며 케이블을 줄였다 늘였다 한다. 이 과정이 연속으로 일어나는데 걸리는 시간은 불과 뜨거운 난로에 손을 댔을 때 조건반사가 ... ...
03 세계는 종자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3억원에서 많게는 15억원까지 매우 높다. 이를 근거로 국내 자생식물의 잠재적 가치를
계산
해보면 약 4000종의 식물이 연간 1조2000억원에 달하는 ‘몸값’을 갖고 있다. 하나의 식물이 의약품으로 개발될 때는 약 450만배의 부가가치가 다시 창출된다. 마치 황금알을 낳는 거위처럼 엄청난 부가가치를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확보하고 수치모델을 이용해 우리나라 전체 숲에서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포괄적으로
계산
한 후에야 이뤄질 수 있다. 또 이 결과를 정리한 논문이 국제 유명 학술지에 출판돼야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다. 숲이 얼마만큼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느냐에 대한 답을 내기 위해 10여년 전부터 ... ...
황금 주파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따라서 사업자들에게 떨어지는 수익은 그 이상이라는 얘기다. 이를 전세계로 확대해
계산
하면 천문학적 액수가 나온다.이 때문에 전파는 오래전부터 공동 관리 대상 목록 1호로 올라있다. 전파도 아껴쓴다1934년 출범한 국제전기통신연합(ITU)도 바로 이런 배경에서 출발했다. 공동자원인 전파를 ... ...
불규칙한 바람에서 노다지를 캐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엄청난 연산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종잡을 수 없는 난류의 움직임은 그만큼 복잡한
계산
으로 표현된다. 보기에도 복잡한 난류의 움직임을 수식 단 몇 개로 꼬집어 설명한다는 시도 자체가 애초부터 불가능한 얘기일지 모른다. 요즘은 연구실의 워크스테이션과 슈퍼컴퓨터가 이 문제를 해결해주고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