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회적 책임 다하는 과학비평가이고 싶어
과학동아
l
200406
독어독문학. 그래서 박사는 자신을 ‘시대를 앞서간 하이브리드(잡종)’ 라고 말한다.
대학
시절 현실과 미래에 대한 관심과 궁금증을 풀기 위해 접한 과학책들이 인생을 바꾼 계기가 됐는데, 특히 그 무렵 읽은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 가 인상적이었다고.“불확정성의 원리로 현대 ... ...
HOT ISSUE 2. 숱한 증명실험 통과한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0406
1960년 미 하버드대 물리학자 로버트 파운드와 글렌 레브카가 한 실험이었다. 그들은
대학
내 건물의 엘리베이터 통로를 활용했다. 22m 높이의 엘리베이터 바닥에는 고에너지의 감마선 발사장치를 놓고 천장에는 센서를 장착했다. 그런 다음 감마선을 천장의 센서로 향해 쏘았다. 감마선이 지구 ... ...
KT대표이사 사장 이용경
과학동아
l
200406
남들이 많이 알아주더군요.”이 사장은 엔지니어 출신 CEO로서 경영에 뛰어들기 전에
대학
과 연구소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쳤다. 박사과정 때는 광통신 분야 가운데 전기신호를 빛으로 변화하는 광변조 기술분야에서 이론보다 실험을 위주로 연구했다. 남들이 못 만든 새로운 광변조 장비를 ... ...
태양계 밖 행성 첫 촬영
과학동아
l
200406
뒤 남은 잔해물로 태양보다 빛이 훨씬 약하다.이번 관측을 주도한 미 펜실베니아주립대
대학
원생 존 뎁스는 “별이 너무 밝으면 주위 행성을 볼 수 없다”며 “따라서 우리는 별빛이 약한 백색왜성 7개를 추적했는데 그중 3개에서 행성으로 추정되는 천체의 존재를 포착했다”고 말했다.그러나 이번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06
단한번에 결정해야 하는 상황인 것이다. ‘번갯불에 콩구워 먹는 격’으로, 국내 최고의
대학
총장을 뽑는 방식으로서는 엉성한 감을 씻기 힘들다.러플린은 누구인가 현대 양자물리학을 고차원으로 끌어올린 분수양자홀 효과라는 새 이론을 발견한 공로로 대니얼 추이 교수(미 프린스턴대), ... ...
뿔 긴 도마뱀이 명도 길다
과학동아
l
200405
자연선택 이론이 실제 자연계에서 적용되는 현상이 포착됐다. 미국 유타주립대
대학
원생인 케빈 영은 미국 애리조나주 소노란 사막에 살고있는 뿔도마뱀(horned lizard)은 뿔이 길수록 생존확률이 크다고 ‘사이언스’ 4월2일자에 발표했다.천적인 때까치는 도마뱀을 채어가 나뭇가지에 걸쳐놓고 ... ...
물방울 카메라와 종이를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05
소금쟁이가 잔잔한 연못이나 개울에서 스케이트를 타듯 물위를 사뿐히 떠다닐 수 있는 것이나 개미가 물방울에 갇혀 나오지 못하는 것은 물의 표면장력 때문이 ... 이용해 미세유체를 제어하는 연구는 현재 미 듀크대, 로스앤젤레스 소재 캘리포니아대 등 일부
대학
에서 진행되고 있다 ... ...
태양건축 에너지 완전자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05
상황에 대비한 보완 기술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주목할 점은 계획 초기부터 연구소와
대학
, 건축사무소가 밀접히 협력했다는 사실이다. 각각의 설계와 시공 단계에서 일어나는 각종 문제를 함께 해결했다. 특히 단계마다 정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공동작업을 통해 건축기술과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05
등 외국 박물관을 찾는 아이러니가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대학
은 돈이 되지 않는 이런 기초작업까지 돌볼 여유가 없는게 오늘날의 현실이다. 결국 이런 일은 국립수목원 같은 국가기관의 몫으로 남게 됐다.“아시다시피 우리나라는 유엔의 생물다양성보존협약에 ... ...
인간 19번 염색체 비밀 한국 과학자가 풀어
과학동아
l
200405
해독에 한국인 과학자가 개발한 실험방법이 크게 기여했다.부산 동아대는 최근 이
대학
자연대 생명과학부 임선희 교수 연구팀이 ‘네이처’ 4월 1일자에 게재된 ‘인간의 19번 염색체 염기서열 규명’이란 논문에 공동저자로 참여했으며 자체 개발한 실험방법이 해독을 완료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