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에서 시조새 화석 발견됐다
과학동아
l
199404
지어지지 못한 것으로 보아 이 시조새는 땅에서 나무나 곤충으로 날아오르지 못하고 날개
끝
에 붙어 있는 예리한 발톱을 가지고 나무에 기어 올랐으며 나무 위에서 날개깃을 가지고 활공비행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조선 시조새 화석이 발견된 지층 속에서는 많은 동식물 화석이 발견됐는데 이것은 ... ...
인공효소 개발로 한국 과학상 대상 받은 서울대 화학과 서정헌 교수
과학동아
l
199404
효소는 살아있는 생물체에서 작용하고 얻어지는 것이지요. 그러나 인공효소는 처음부터
끝
까지 사람의 손으로 만들어진 효소를 말합니다. 그래서 천연효소는 생체와 비슷한 조건 아래서만 반응이 이루어지는 한계를 가지는데, 인공효소의 경우 이러한 제한조건이 훨씬 적을 수 있지요."또 물질개발 ... ...
지역별로 본 한국인 얼굴의 특징
과학동아
l
199403
한국인쪽이 가장 넓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마의 앞부분의 가로폭(대략 양쪽 눈썹의
끝
부분에 가까운 앞이마와 옆이마의 경계)인 전두최소폭의 측정치는 한국인쪽이 현저히 작다. 일본인이 98.39mm, 태국인이 98.60mm 인 데 비해 한국인은 95.50mm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이마 앞 부분이 좁은 점은 ... ...
남북학자들이 공동연구할 그날은 언제쯤…
과학동아
l
199403
1억5천만년 전의 시조새 화석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이것을 김일성 대학 교수들이 연구한
끝
에 1백 30년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시조새 화석과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조선 시조새'라 명명했다고 한다.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시조새가 발견된 것은 독일에서만 두 번이 전부다.남한에서는 1 ... ...
하늘에 떠있는 별들의 절반은 짝별
과학동아
l
199403
감마성 포리마는 망원경 시야에 넣는 것부터 쉽지 않다. 성도상의 위치와 몇번의 대조
끝
에 이 별들을 확인하고 배율을 높였을 때 고물자리의 별은 쉽게 분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포리마의 경우 1988년 처음 볼 당시는 분해에 성공했지만 1993년에 다시 관측했을 때는 잘 분해되지 않았다. 이유는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03
의 약자. 이 농법은 일본 류큐(琉球)대학 히가테루오(比嘉照夫) 교수가 10여년의 연구
끝
에 1982년 완성, 그 후 실증실험을 거쳐 1990년부터 미국 브라질 태국 등 동남아 각국에서 호평받으며 급속히 보급돼가고 있다. 현재는 프랑스 등 유럽지역에서도 시험재배중이다.양질의 농산물 다수확 ... ...
PART.3 게임제작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199403
처음으로 우리 말이 지원되도록 했고, 중간에 구성원 일부가 빠져나가 고전한
끝
에 내놓은 폭스레인저 II는 최대의 용량을 자랑하고 있다.한동안 인원문제로 내부진통을 겪느라 작품 발표가 뜸하던 SA팀은 이번 봄에 두가지 게임을 발표하느라 분주하다. 국내 처음으로 액션과 롤플레잉이 결합된 ... ...
2. 현대 로켓의 시조 V-2와 그 후예들
과학동아
l
199403
이후 선진국들은 이 분야의 기술 입수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미국은 2차 세계대전이
끝
나갈 무렵 독일의 로켓 과학자들과 관련된 자료와 로켓부품을 획득하기 위한 '페이퍼 클립' 작전을 세웠다. 이 작전을 통해 V-2 로켓의 많은 부품과 자료 그리고 1백20여명의 관련 과학자를 얻었고 이들은 후에 ... ...
생물- 유리잔에 묻은 지문 채취하기
과학동아
l
199403
어떻게 하는지 알아 봅시다.지문이란 피부 아래쪽의 진피가 울퉁불퉁하게 주름진 손가락
끝
의 굴곡을 말합니다. 이 주름 덕분에 미끄러뜨리지 않고 안전하게 물건을 잡을 수 있지요. 동물 중에서는 손을 사용하는 원숭이와 오랑우탄 정도만이 지문을 갖는다는 것도 재미있지요. 인간 원숭이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03
계산이 가능하다.축구장이나 야구장에서 단체응원을 할 때 '파도치기'라는 것이 있다.
끝
에서 시작하여 차례대로 일어났다 앉으면 되는데 정확한 파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각자가 일어나는 시간을 잘 맞춰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옆 사람과 어깨를 거는 것이 효과적이다. 일어나기 위해서는 할 수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