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기
기구
장치
도구
기관
엔진
용구
뉴스
"
기계
"(으)로 총 3,860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은 숨은 ‘수학 강국’일까
2015.08.07
논문은 총 294건이다. 2009년 5월 ‘대한수학회보’에는 한송철 김일성종합대 수학 및
기계
공학과 교수가 중국 수학자와 함께 논문을 싣기도 했다. 당시 대한수학회장이던 김도한 서울대 수리과학부 명예교수는 “북한 학자가 남한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한 첫 사례”라며 “북한 수학자들이 많이 ... ...
“반역자가 돼야 과학을 할 수 있다”
2015.08.02
담고 있다. 이런 수학 속 이야기를 한 권으로 엮어낸 책이 나왔다. 미국 털사대
기계
공학과 교수로 다양한 과학저서를 출판한 저자는 한 권의 이야기 책처럼 느껴진다. ‘도플러 효과에서 군중규모 추산에 이르기까지 세상을 풀어내는 52가지 공식 이야기’란 부제에서도 이를 짐작할 수 있다. ... ...
메르스 진단 기술 PCR, 초소형 기기로 5분 안에 끝낸다
2015.08.02
과학수사와 생물과학 발전에도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빛을 이용한 PCR
기계
의 원리. 금 박막에 빛을 쏘이면 전자의 진동으로 열이 발생한다. - 손준호 제공 PCR의 원리는 온도조절이다. 열을 가해 두 가닥의 DNA를 한 가닥으로 분리한 뒤 증폭시키고 다시 온도를 내려 두 가닥으로 붙이기를 3 ... ...
[즐기자! 사이언스바캉스] 과학동아가 만든 고품격 과학 강연회
2015.07.31
쓰고 체험할 수 있는 영상을 보여 주며 가상현실이 바꿀 미래를 소개했다. 김호영 서울대
기계
항공공학부 교수는 “어렸을 때는 자동차를 연구할 거라고 생각했는데 20대 중반에 생체모방공학을 전공으로 택하면서 자연에 관심을 많이 갖게 됐다”며 진로 선택에서 열린 자세가 중요하다고 ... ...
2cm 몸으로 14cm 점프 ‘소금쟁이 로봇’
2015.07.31
소금쟁이와 비슷하다. 소금쟁이를 모사한 ‘소금쟁이 로봇’은 조규진 김호영 서울대
기계
항공공학부 교수팀과 로버트 우드 미국 하버드대 교수팀이 공동으로 개발해 ‘사이언스’ 31일 자에 발표했다. 육지 동물은 다리로 지면을 박차면서 뛰어오르는 반면 소금쟁이는 넓게 벌린 네 다리를 ... ...
유례없는 병원감염 사태… “다인실 축소 등 시스템 바꿔야”
동아일보
l
2015.07.29
1시간 이상 접촉해야 감염된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기본 가이드라인을 너무
기계
적으로 따랐다는 지적이 나왔다. 임현술 동국대 의대 예방의학 교수는 “WHO 기준을 준수하는 건 필요했지만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수들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했다”며 “이로 인해 초기 감염자들이 어떻게 ... ...
분단 70년, 과학 용어 비교..."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5.07.28
것이다 - 이공계 대학 김일성종합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 등 3개의 종합대학이 있고,
기계
, 의학, 농업 등 특수 과학기술 분야에 특화된 기타 대학들이 있다. 사립대학은 전무하다. 교수임용과 학사관리, 학생입학은 대학당위원회가 총괄하고 있다. 학생들은 등록금을 내지 않고 국가 지원만으로 ... ...
“메르스 사태 사실상 종료”
동아일보
l
2015.07.27
이 환자는 아직 폐렴 증세가 있어 에크모(혈액을 체외로 보내 산소를 공급해 주는
기계
)의 도움을 받고 있지만 최근 메르스 바이러스 검사에서 최종 음성 판정을 받았고, 생명에도 특별한 위험이 없는 상태로 알려졌다. 가족들에 따르면 35번 환자는 아직 수면 시간이 많지만 지난주부터는 의식이 ... ...
미래 사회 이끌 키워드는 '호기심과 상상력'
과학동아
l
2015.07.27
덕분에 완성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특별강연에 나선 로봇 '휴보' 개발자 오준호 KAIST
기계
공학과 교수는 "지난 6월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로봇 경연대회(DRC)'에서 우승한 비결은 역발상"이라고 말했다. 일찌기 다른 로봇 연구팀이 시도하지 못했던 '깜짝 기술'이 있었다는 뜻이다. 대회에는 ... ...
투명하고 쭉쭉 늘어나는 히터 나왔다
2015.07.26
웨어러블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히터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고승환(사진) 서울대
기계
항공공학부 교수팀은 60%가량 늘어나면서 섭씨 100도의 온도에도 끄떡 없이 작동하는 히터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14일자에 게재했다. 최근 세계 각국 연구진이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