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3 '자연으로 돌아가자' 가치관 절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클라우지우스는 '우주는 결국 사용가능한 에너지가 완전히 사용불가능한 형태로 바뀐
최대
엔트로피 상태에 이르러, 더 이상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영원한 정지라는 종말에 이를 것'이라 보았던 것이다.엔트로피 법칙은 우주 어느 곳에 질서가 더 생기는 것은 다른 곳에 그보다 더 큰 무질서가 ... ...
바다 속에서 솟아오른 화산섬 하와이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마우나로아 화산과 킬라우에아 화산이 있다.마우나로아(Mt. Mauna Loa)는 활화산으로 세계
최대
의 순상화산(楯狀火山)이다. 이 화산의 용암은 규소와 가스가 적고 온도가 매우 높아 유독성이 강하다. 폭발할 때 보통 1천1백℃나 되는 용암이 약 32km 정도 흘러내린 후 서서히 굳는다.평균 3년마다 한번씩 ... ...
수학의 난제 π값 계산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하는 점이다. 아르키메데스의 사고법을 전하는 그의 저서 '방법의 발견'은 20세기
최대
의 대발견으로 일컬어진다.1906년 콘스탄티노플 수도원의 도서실에서의 일이다. 그의 논문은 모두가 완벽했지만 어디에도 그가 어떻게 해서 그런 생각을 하게 됐는가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었다. 오랫동안 ... ...
생물- 수질오염원인 과학적 탐구요령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있는가? 자료의 해석 및 결과의 분석3물고기가 생존할 수 있는
최대
수온과 북한강의
최대
수온을 비교한 결과 물고기가 죽은 8월에 송어는 타격을 받겠지만, 다른 물고기는 생존에 지장이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온도가 물고기 죽음의 원인이라고 할 수 없다.가설의 설정 4가설 4. 용존 ... ...
PART 2. 무진장의 자원이용, 공업화 5단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좋기 때문이다.■ 연료가스회수월면에서 쏘아올린 우주선의 배기가스, 특히 수증기를
최대
로 획득해 재이용하는 방법이다. 우주선 발사시 고온의 배기가스가 분출되는데 이를 회수해 냉각시켜 물을 응축시키는 방법. 달에서는 물이 귀하기 때문에 이 방법으로 물을 얻으면 연료값을 충당할 수 있다 ... ...
달착륙 4반세기 새로운 도전 NASA 우주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다시 부착시키고, 우주왕복선이 지구궤도를 무사히 순회할 수 있는지를 최종점검한다.
최대
로 4대까지 재조립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우주왕복선은 한번 쓰면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 재사용할 수 있는 우주비행체이기 때문에 건강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삐끗하면 하루 아침에 공든 ... ...
세계
최대
규모 입자가속기 유럽 설립 예정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충돌기가 될 것이다.한편 이 계획이 수행되기 위해 넘어야 할
최대
장애물은 이번에 반대표를 던진 영국과 독일이 건설 비용을 자신들의 통제하에 두려 하고 있는 데다가, 두 나라가 이 계획의 주축국인 프랑스와 스위스의 기부금에 불만을 품은 것에 기인한다. 또한 가장 ... ...
지구과학 - 16세기 과학혁명의 주역 지동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돌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그림2).[생각해 보기] 금성의
최대
이각에 비해 수성의
최대
이각이 작은 이유를 공전 궤도와 관련지어 생각해 보자. 갈릴레오와 망원경천문학자로서의 갈릴레이는 태양계에 대한 프톨레마이오스의 체제를 그대로 받아 들이는 대신 자기가 직접 망원경으로 관측한 ... ...
PART 1. 미·소 탐험 경쟁서 미국 주도로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말하기도 하였다. 참으로 어려운 모험이었다. 인간의 달탐험은 최고로 선택받은 자들의
최대
의 모험이었다. 암스트롱이 달을 떠난 후 달을 돌고 있던 루나 15호는 달의 착륙에 실패하여 달에 충돌함으로써 러시아는 패배의 두손을, 미국은 승리의 두손을 들었다.얼마전 필자가 만났던 러시아의 우주 ... ...
'양치식물의 천국' 제주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나무에 붙어서 식생하는 일엽초, 밤잎고사리 등을 볼 수 있었다.넷째날제주 사상
최대
의 폭우. 태풍 버그가 사라지기 직전에 흘린 눈물이라는 이 비로 하루 강수량이 9백mm에 육박했다. 탐사는 바람을 동반한 폭우 속을 헤치고 강행되었지만 많은 한계가 있었다.먼저 한라산국립공원 900m 고지에서는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