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과학동아 l2013년 02호
- 긴 시간에 걸쳐 크게 증폭되고, 행성은 짧은 1시간에 걸쳐 작게 증폭된다. 그러나 짧고 작은 증폭만 관찰된다면, 이는 외톨이 행성이거나 중심별에서 아주 먼 행성이라는 의미가 된다. 두 경우를 명확히 구분하려면 더 많은 관측이 필요하지만 멀리 떨어진 행성도 언젠가 외톨이가 될 가능성이 ... ...
- [W5 코드 브레이커] 리만 가설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방법은 빠르게 소인수분해 하는 것뿐이다. 그런데 리만 가설이 참이라면 공개된 수보다 작은 소수를 빠르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생긴다. 따라서 오늘날의 암호체계는 쉽게 뚫릴 수 있는 것이다 ... ...
- 초파리 애벌레가 찾아낸 촉각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신경세포에는 다른 신경세포가 보내는 전기 신호를 받아서 전달하는 ‘수상돌기’라는 작은 돌기가 붙어 있어요. 저도 마찬가지구요. 그런데 과학자들이 제 신경세포를 조사하다가 수상돌기 끝에 이 단백질이 가득 달려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거죠. 단백질을 떼어낸 제 친구는 아무리 문질러도 ... ...
- [해외취재] 영국 매스투어2탄, 위대한 수학자들의 자취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연두색 돔이 있어요. 사실 엄청 큰 돔을 상상하고 갔다가 살짝 실망을 했는데요, 그 작은 돔이 세인트 폴의 돔의 모태가 됐다고 생각하니 다시 보이더라고요.해리포터 식당을 촬영한 걸로 유명한 옥스퍼드 크라이스트 처치 입구에 서있는 톰 타워도 렌의 작품이랍니다. 뿐만 아니라 그리니치 ... ...
- PART 1. 당신이 알던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DNA는 1950년대에 들어서야 겨우 구조를 드러낼 정도로 작은 물질이다.하지만 그 안에는 신비할 정도로 정교한 구조가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NEO DNAPART 1. 당신이 알던 DNA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연구하고 있는 ‘마이크로 RNA(microRNA)’다.마이크로 RNA는 크기가 핵산이 22개 정도 되는 작은 RNA로, 1993년에 꼬마선충에서 처음 발견됐다. 당시에는 큰 관심을 끌지 못하다 1998년 RNA가 강한 유전자 억제현상을 유도한다는 ‘RNA 간섭(RNAi)’ 현상이 밝혀진 후 재조명됐다. 당시까지 마이크로 RNA는 큰 ... ...
- 태양보다 100만 배 밝은 빛, 통신혁명 가져올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제작 기술을 이용해 빛을 머리카락 단면적의 1억분의 1에 불과한 100 제곱나노미터의 작은 점에 모으는 데 성공했다. 집속 효율도 약 74%에 달해 지금까지 반도체 칩에 빛을 모은 실험 중 가장 효율이 높게 나타났다.이번 연구결과를 활용한다면 광학현미경의 해상도를 분자 수준으로 낮출 수 있어서, ... ...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나뭇가지에 비유해 보면 안길은 큰 나무줄기를, 샛길은 작은 가지를 연상케 만든다. 작은 가지를 따라 들어서 있는 초가집은 가지에 과일이 달려 있는 형상이다.아무렇게나 만든 것처럼 보이지만 마을이 들어선 곳은 눈에 보이지 않는 원칙이 있다. 마을의 동북쪽에 위치한 주산인 설화산과 ... ...
- 성스러운 생태계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바람을 타고 흘러가는것을.‘머리 나무’라고 불렀던 고정형 믿으믿의 뿌리에서 또다른 작은 ‘머리 나무’들이 얼굴을 내미는 것을.그는 경악했고, 또 그것마저 보았다.저녁. 그 행성 특유의 보랏빛 황혼 속에서 다시 신들이 행진하는 것을. 그러나 믿으믿들을 닮은 신들은 믿으믿들과 마찬가지로 ... ...
- 통신 기술을 밝힐 나노 태양!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 1㎚=1억 분의 1m). 머리카락 굵기의 1억 분의 1밖에 안 되는 아주 작은 크기지요. 이런 작은 공간에 밀도가 아주 높은 빛을 모을 수 있으면, 광통신 케이블을 통해 한 번에 많은 빛을 보내 통신 속도나 전송량을 모두 높일 수 있답니다. 또 현미경의 해상도를 분자 수준으로 낮춰서 여러 분야에서 ... ...
이전3403413423433443453463473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