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0년 12호
- 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맞춤의학외골격 로봇미생물 바이오 공장자기치료물질우주엘리베이터뇌 기계 접속 기술스크램제트 엔진인간 발전소바이오 이종 ...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생명이 과연 인류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까. 어쩌면 이런 생명체는 사람이 타고 있는 우주선의 컴퓨터를 생명체로 인식해 의사소통을 시도하려 할지도 모른다. 1▼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빛보다 빠르게 또는 느긋하게그 곳에 생명이 있다 ... ...
- 20세기 최고 수학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0년 11호
- 추측과 삼체문제, 혼돈 이론, 위상수학 등으로 현대수학 발달에 크게 기여했다. 그리고 우주진화론과 상대성 이론에도 많은 도움을 줬다. 20세기의 100대 인물에 뽑힌 수학자 2명세계적인 잡지인 타임이 ‘20세기의 100대 인물’ 을 선정했는데, 여기에 2명의 수학자가 포함됐다. 바로 괴델과 ... ...
- 빛보다 빠르게 또는 느긋하게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쉽지 않다.한편 사람이 직접 가지 않고 냉동된 수정란만 실어 보낼 수도 있다. 우주선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수정란은 자동으로 인공 자궁으로 옮겨가 성장하고 태어나는 방법이다. 사람을 얼리는 기술은 어려워도 수정란은 쉽게 얼릴 수 있으며, 사람을 보낼 때보다 더 많은 수를 보낼 수 있다.이 ...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정밀하지 못해 행성을 발견한 실적은 없지만, 향후 별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우주망원경이 설치되면 이 방법으로도 외계행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중력에 휘는 빛으로도 행성 찾아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해 외계행성을 발견할 수도 있다. 거리가 다른 2개의 별이 우리의 시선방향과 정확히 ...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과학동아 l2010년 11호
- 한다. 그동안 등장한 지구과학 문제들을 살펴보면 수륙 분포의 변화나 별의 밝기와 거리, 우주관의 변화, 강수 이론, 일기 자료의 해석, 지진파의 분석, 해류의 분포, 행성의 관측 등 항상 수능에서 단골로 나온 내용들 위주로 문제가 출제됐다. 올해도 이들 위주로 개념 정리를 하면서, ...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전문가 클리닉 지구의 평균 온도는 약 14℃입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 지구는 우주에서 유일하게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고, 생물이 살기에 적합한 행성입니다. 하지만 위도나 지형에 따른 온도차는 매우 큽니다. 최저 온도는 영하 89℃, 최고 온도는 58℃에 이릅니다.이런 온도차는 ...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많은 빛을 사방으로 방출한다. 빛에 의한 복사압(과학동아 9월호 ‘우주여행, 상상에서 현실로’ 참고)이 표층 물질에 작용하는 중력과 평형을 이뤄 물질의 하강을 막아 태양의 크기를 유지한다. 만일 이 균형이 깨지면 항성의 크기가 증가 혹은 감소하고 차이가 심한 경우 ... ...
-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모습을 연구하기 위해 이런 가스 원반을 연구하기도 한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우주 초기에 만들어진 늙고 금속 함량이 낮은 별에서는 행성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반대로 비교적 젊고 금속 함량이 높은 별에서 행성이 많이 발견됐다.인류가 가서 살 수 있는 행성 후보를 선정하는 데 ...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은하계의 수많은 행성이 지구처럼 바뀌는 건 시간 문제일 것이다. 미래의 인류가 우주를 사람으로 꽉꽉 채울 날은 과연 언제일까. 1▼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빛보다 빠르게 또는 느긋하게그 곳에 생명이 있다!외계행성을 ... ...
이전3403413423433443453463473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