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위
선제
우위
선취권
d라이브러리
"
우선
"(으)로 총 4,489건 검색되었습니다.
허공에서 북과 꽹과리치는 가상현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후에는 전시홀에 들러 최근 개발되고 있는 여러가지 전자기기들을 다루어볼 수 있다.
우선
고선명(HD)TV 앞에서는 냄새와 온도까지 곁들인 특수영상을 맛보게 된다. 화면에 바다의 전경이 펼쳐지면 순간적으로 바다 냄새가 나며 시원한 느낌을 받을 수 있는 적당한 온도가 만들어진다.로봇코너에서는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수상 대상은 그때까지 구체적인 발명이나 발견, 과학관측장치의 개발 등 명시적인 것이
우선
시돼 왔다. 순수한 이론적 공헌만으로는 웬만해서는 수상대상이 되지 못했고, 무언가 구체적인 것에 연관이 맺어진 연후에야 심사대상에 오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당시 상대성이론도 아직 그같은 ... ...
한국 기술 교육 대학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설립계획을 추진하면서 특별히 심혈을 기울인 것은 대학학장 등 교수진의 인선이었다.
우선
개교에 필요한 최소 교수인원 35명 가운데 서울대 과기대 육사 창원기능대학 등에서 다수의 중진급 교수를 초빙했다. 초대 학장은 서울대 공대학장을 역임한 이낙주 박사가 맡았고 교무처장은 '사관학교'식 ... ...
지진의 '액상화 현상'을 슈퍼컴퓨터가 예측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시스템이 개발된 것.시미즈(淸水)건설이라는 대형 건설회사가 앞장선 연구작업은
우선
미국에서 일어난 액상화 현상의 데이터를 입력시켜 시뮬레이션한 다음, 현실의 피해와 같은 정도의 피해상황을 산출, 그 정확도를 인정받았다고 한다.또 지반이 약한 지역에 세워진 건축물에도 충분한 액상화 ... ...
보름달이 사라지는 개기월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남겨야 하나? 필자는 국민학교 때 월식을 보며 절을 하고 소원을 빌었던 기억이 난다.
우선
별다른 관측장비가 없는 사람들은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서 월식의 정확한 진행시각을 기록하라. 사전에 자기 시계를 TV나 라디오를 통해 정확히 보정해두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안시관측 장비만을 ... ...
블랙홀 탐험과 두뇌속 상상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돼 있음)를 사용했다.유성정원을 가볍게 산책한 후에 달기지 안으로 들어가게 되면
우선
'도전의 장'이 기다린다. 관람객들은 인류가 최초로 우주를 관측했다는 전설의 스톤헨지와 고대 우리 조상들의 천문관측기구라고 할 수 있는 첨성대 등의 모습을 돔 천장에서 볼 수 있다.이외에도 지동설을 ...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있고 달의 진면목을 알 수 있다. 스케치를 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소도구들이 필요하다.
우선
연필로는 보통 HB~4B연필을 사용하며, 스케치해가는 과정에 따라 HB 연필과 2B 또는 4B를 교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통 두자루 이상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지우개는 굳은 것과 부드러운 것 모두를 준비하면 ... ...
위도따라 끊임없이 독특한 기류운동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그림4)의 곡선 a다. 이것은 (그림1)의 파선과 같은 것이다. 이 열수송의 메커니즘으로서
우선
적도와 극을 연결하는 남북 연직단면내의 순환을 생각 했다. 실제로 세계 각지의 상층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해 남북연직 단면내의 순환에 의한 극으로의 열수송량을 각 위도권에 대해서 계산한 결과가 (그림 ... ...
지구과학 -B.C.2천년전 고대 이집트서 처음구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관측기기를 더욱 발전시킨 것이다. (그림2)는 고대 이집트인이 사용한 해시계다.그들은
우선
하루의 길이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하여 해시계나 그림자 막대를 이용하여 하루 중 그림자의 길이가 가장 짧은 때부터 다음날 가장 짧은 때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하루를 정하고, 그림자의 방향을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말하는 '과학하는 어려움'은 크게 사람의 문제와 정부정책의 문제로 대별할 수 있다."
우선
과학전문가가 너무 적고 전문가 집단이 빈약하다는 점이 큰 문제입니다. MIT에 있을 때 가장 부러웠던 점이 바로 한 연구소에 4백명이나 되는 전문가들이 포진해 있다는 점입니다. 개인 하나하나는 우리와 크게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