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현실 스튜디오에서 유럽 여행 만끽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그들은 광케이블을 통해 매트릭스에 침투하고, 매트릭스 프로그램을 응용해 자신들의 뇌
세포
에 각종 데이터를 입력한다. 매트릭스는 가상과 현실을 넘나든다는 내용 하나만으로도 많은 사람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첨단 과학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는 가상현실은 과연 어떤 ... ...
3. 한국인 식생활 이대로 좋은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소아비만증을 일으키는 결정적인 시기가 0-4세와 7-11세이며, 0-2세와 9-12세의 경우 지방
세포
의 수가 증가하는 중요한 시기라고 한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비만 증가 추이를 살펴보면 중·고등학교 연령층(12-17세)보다 초등학교 연령층(6-11세)에서 더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다.2001년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유익한 도구가 될 수는 없을까. 아니다.바이러스 학자들은 바이러스가 유전물질을
세포
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특성이 있다는 점에 착안해 유전자 치료에 치료용 유전자를 전달하는 벡터(vector)로 개발하고 있다. 1990년에 첫번째 유전자 치료가 실시된 이후, 현재 세계적으로 4천여명의 환자가 유전자 ... ...
장기이식용 돼지 복제 성공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연구책임자인 앨런 콜먼 박사는 우선 당뇨병 환자들에게 돼지 췌장의 인슐린 생산
세포
를 이식하는 임상실험을 4년 안에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면역 거부반응 근본적으로 차단지금까지 심장·간 등 특정 장기의 기능이 완전히 상실된 말기 환자들이 소생할 수 있는 길은 인공장기나 뇌사자의 ... ...
4 세계 수준의 한국형 MEMS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배경을 갖고 있다. 그는 학부 때 기계공학, 그리고 석·박사로 인공심장 설계와 혈관 내피
세포
생리학 관련 의공학을 전공했다. 박사학위를 취득한 1995년부터 5년 간 그는 서울대 반도체 연구소에서 근무하면서 산업자원부의 G7 MEMS 과제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그는 MEMS를 처음 만났다. 기계공학, ... ...
줄기
세포
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인간줄기
세포
연구의 가능성과 한계’라는 토론회에서 윤리적 문제가 많은 배아줄기
세포
가 아닌 성체줄기
세포
연구의 가능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탯줄혈액에도 줄기
세포
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탯줄혈액은 그 어느 때보다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다.그러면 중간엽 줄기
세포
는 ... ...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비롯됐다고 한다.혈관에 삽입된 초미세 로봇이 인체 내 환부를 찾아 손상된
세포
를 복원하는 영화 속 얘기 같은 미래를 상상해본 적이 있는가. 먼지와 같은 초미세 센서들을 적지에 뿌려 이들로부터 적군의 동태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는 미래의 전장은? 또는 의복이나 장신구, 신체부착물에 분산 ... ...
테러범 잡는 탐지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같은 조건을 가장 만족시키는 종류는 바로 독일의 셰퍼드다.다 자란 셰퍼드의 경우 후각
세포
가 분포하는 상피면적이 보통 개보다 많은 1백70cm2 정도다. 일단 후각능력은 아주 우수하다는 얘기다. 더욱이 셰퍼드는 복잡한 훈련을 잘 소화하는 영리한 개에 속한다.그런데 셰퍼드라고 해서 탐지견으로서 ... ...
암소에서 뽑은 거미줄 섬유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이번이 처음이다.연구팀은 거미의 유전자를 암소와 햄스터의
세포
에 이식하고, 이
세포
를 속이 빈 길다란 튜브 벽에 부착시킨 후 튜브의 한쪽 끝에 성장인자를 투여하면서 다른쪽 끝에서 거미줄 섬유를 뽑아내는 방식으로 실험했다고 밝혔다. 넥시아의 제프리 터너 사장은“앞으로 이런 방법으로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키워드는 전체 단백질을 연구하는 단백질체학이다. 현재 이 분야와 관련돼 암
세포
와 정상
세포
를 만들어내는 단백질을 감지하는 단백질칩이 연구되고 있다. 만약 단백질체학의 성과로 단백질이 규명되면 궁극적으로 암과 같은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차단하는 약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