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AI가 자연의 소리를 학습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전자북 형태의 ‘한국 자생생물 소리도감’을 발간했고, 이후에도 매미와 박쥐, 여치, 등 여러 동물들의 소리 데이터를 모으고 있답니다. 김태우 연구사는 “2026년까지 동물들의 소리를 정리해 소리은행을 완성하고,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머지 않은 미래에 스마트폰 ... ...
- [쇼킹사이언스] 트럭만 한 공룡이 돌을 삼킨 이유는? 보레알로펠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000만 년 전 캐나다에 살았던 ‘갑옷공룡’이에요. 갑옷공룡은 ‘곡룡’이라고도 불리며, 등이 악어처럼 단단한 뼛조각으로 덮여있어 자신의 몸을 방어할 수 있는 초식공룡이죠. 2011년 캐나다 앨버타주의 광산에서 발견된 보레알로펠타의 화석은 몸길이 5.5m에 몸무게는 1300kg 정도였어요. 보존 ... ...
- [헷갈린 과학] 뉴트리아 vs 카피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불리죠. 매일 체중의 25%에 해당하는 먹이를 먹는 뉴트리아는 수영에 능숙해 갈대 등 물속 식물을 먹지만 가끔 땅으로 올라와 농작물을 먹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 고기와 가죽을 얻기 위해서 뉴트리아를 들여왔어요. 하지만 예상과는 달리 수익성이 떨어져 2000년대 초반, 농가에선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미뢰, 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이는 실이 소리를 전달하는 매질 역할을 한 거랍니다. 이외에도 물, 용수철, 나무, 흙 등 소리를 전달해주는 매질은 다양하지요.한편, 우리는 1초에 16번 진동하는 소리(16Hz*)부터 2만 번 진동하는 소리(2만Hz)까지 들을 수 있어요. 만약 이 진동수보다 느리거나 빠르면 사람이 들을 수 없지요. 이 구간을 ... ...
- 지구의 기록, 바닷속에서 추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또, 얼음이 점점 녹아 사라지면서 원주민들이 터전을 잃는 문제, 어류 자원 보존 문제 등이 논의돼야 해요. 북극 연구는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모두 모아 모든 사람들이 잘 먹고 잘 살자는 방법을 연구하는 데 의미가 있어요. Q기억에 남는 북극 탐험 에피소드가 있나요?북극에서 해빙 연구를 할 땐 ... ...
- 33살 GIF, 인싸와 궁합이 쿵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용량을 줄였지요.이후 JPEG, PNG 등 더 효율적으로 용량을 압축하는 디지털 이미지 형식이 등장했지만, GIF는 틈새시장에서 살아남았어요. 비결은 여러 장의 이미지를 웹브라우저에서 자동으로 반복 재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에 있어요. 움짤을 만들고 퍼뜨릴 핵심 수단이 된 거예요. 덕분에 기피는 ... ...
- [쇼킹 사이언스] 에베레스트산 높이가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세 번의 시도 끝에 정상에 도착해 기준점을 세웠지요. 기준점과 배이스캠프, 중간 등반지점 곳곳과의 거리를 측량하기 위해서예요. 이때 측량팀은 지상에 있는 물체의 위치와 높이, 속도에 대한 정보를 보내주는 ‘전 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GNSS)’과 독자적으로 개발한 위치확인 시스템 위성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크릴, 블랙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증명한 이후 1960년대까지 물리학자들은 블랙홀을 두고 ‘완전히 붕괴된 중력 물체’ 등 어려운 말로 불렀어요. 그러다 미국 이론물리학자 존 휠러가 1967년 열린 학회에서 우연히 ‘블랙홀’이라는 단어를 듣고는 여러 강의에서 사용하며 널리 퍼졌지요. 그렇다면 처음 ‘블랙홀’이란 단어를 쓴 ... ...
- 코로나19로 예상치 못한 좌충우돌 남극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취하는 해표, 얼음 주위를 돌며 사냥하는 범고래, 가끔 불어오는 초속 20m의 눈보라 등을 보면 주머니 속 카메라를 꺼낼 수밖에 없습니다. 절로 눈이 돌아가는 곳이죠. 하지만, 남극은 기상이 변화무쌍해 승조원으로서 긴장을 놓을 수 없습니다. 제 임무는 안전한 연구와 보급 활동을 지원하는 것이기 ... ...
- [가상인터뷰] 유리개구리의 위장 비결, 윤곽 흐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미묘한 몸 빛깔의 변화를 알아냈어. 배경에 따라 다리의 투명도가 달라졌던 거야. 반면, 등 쪽은 거의 바뀌지 않았지. 하지만 어떤 원리로 다리의 투명도가 바뀌는지는 밝히지 못했단다.연구를 이끈 바넷 박사는 “포식자들은 두 색이 만나는 경계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먹이를 찾는데, 유리개구리는 ... ...
이전3403413423433443453463473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