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6,007건 검색되었습니다.
1. 천연두가 지구상에서 사라진 이유
과학동아
l
200003
몸에 침투해도 이와 대등하게 맞서 싸울 수 있는 ‘수호군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인간
은 언제부터 백신의 원리를 알았을까. 놀랍게도 그 시기는 2천5백여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기원전 430년 그리스의 유명한 역사가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전쟁(아테네와 스파르타간의 전쟁) 기록에 ... ...
4. 신세대 백신 등장
과학동아
l
200003
할 과제들이 남아있다. 무엇보다 병균 DNA가
인간
세포의 DNA에 무작위적으로 삽입될 때
인간
DNA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장기적으로 암과 같은 예기치 못한 또다른 질환이 생길 수 있다는 말이다. 이런 면이 함께 고려돼야 DNA백신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1차 ... ...
한국인의 눈이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003
반대로 한대지방에서는 좁아야 체온 유지에 유리하기 때문이다.알렌의 법칙은 포유류인
인간
에게도 그대로 적용된다. 열대에 사는 흑인들은 팔, 다리, 손가락이 길다. 백인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같은 황인종도 동남아시아의 아열대 지대에 사는 남방계 몽골리안의 팔, 다리, 손가락은 추운 북방에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
과학동아
l
200003
할 때도 쓰인다.20세기 수학자들은 '유한군론과 리군(Lie group)론'을 통해 자연과 사회 및
인간
의 마음에 존재하는 모든 대칭성을 찾아 그것들에 대한 도표를 만들기 시작했다.이것은 4차원 공간이나 그 이상을 설명하고 나아가 물질의 본질을 규명하는 기본 원리로 쓰였다.과학자들이 자연세계의 ... ...
벤처의 출발점 자신을 못견디게 하는 그 무엇
과학동아
l
200002
그 안에서 만나는 가상인물이나 전쟁을 치르고 상대는 사실상
인간
의 분신, 곧
인간
이다.대부분의 게임이 컴퓨터와 겨루지만,헬브레스와 같은 온라인 네트워크 게임은 사람과 사람이 겨룬다는 점에서 매력이 있다.그래서 갖가지 사건들이 벌어진다.좋아하는 사람들이 생기고,미워하는 사람들이 ... ...
4.
인간
을 닮으려는 바이오 소재
과학동아
l
200002
어린 시절 386세대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었던 '6백만불의 사나이'는 더 이상 영화 속의 이야기가 아니다.인공 관절과 뼈는 물론 인공 혈관까지 사람의 것을 닮은 바이오 재료들이 새로운 모습으로 속속 등장하기 때문이다. 우리 몸의 조직은 그 생명이 다할 때까지 끊임없이 살아서 움직이며 ... ...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02
완전히 드러난다. 고요의 바다 남서쪽 가장자리는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의 착륙지로
인간
이 달에 첫발을 내딛었던 장소이기도 하다. 맑음의 바다 북쪽에 위아래로 늘어선 크레이터 아리스토텔레스와 유독소스가 볼만하다.■ 상현 전후관찰하기 좋은 지형들이 많아 가장 인상적인 달을 볼 수 ... ...
조선 사람의 생로병사
과학동아
l
200002
죽어간다는 평범한 진리였다. 조선사람들도 그랬고 현재의 우리도 그러하다. 이것은
인간
이 생로병사를 피할 수 없다는 점에서 과거나 현재가 다르지 않다는 말이다. 그러나 생로병사를 바라보는 문화는 크게 달라져 어느덧 과거의 문화는 현재의 우리에게 수수께끼가 돼 버렸다. 아이를 어떻게 ... ...
2백살을 맞은 사나이(The Bicenntenial Man)
과학동아
l
200002
존재가 앤드류만큼 절실하게
인간
이기를 갈망할 수 있을까?
인간
과 가장 가까우면서도
인간
은 아닌 존재인 로봇이야말로 SF장르만이 제공할 수 있는 문학 소재다.이 점에서 '2백살을 맞은 사나이'는 20세기의 고전으로 갈수록 가치를 더할 것이다 ... ...
지구는 얼마나 클까?
과학동아
l
200002
찾을 수 있었다. 당시 많은 사람이 지구는 편평하며 월식은 신이 보름달을 검게 물들여
인간
에게 공포심을 주려는 것으로 믿고 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림자의 모양은 사물의 생김새를 그대로 본 딴다는 걸 알고 있었다. 그래서 월식 때 달 표면에 서서히 드리워지는 그림자를 관찰하며 지구의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