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뉴스
"
양
"(으)로 총 5,270건 검색되었습니다.
‘맞춤 생산’ 가능한 메타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8.21
개발하기로 했다. 홍성훈 책임연구원 ”이번 기술개발로 메타물질 및 활용 범위가 다
양
해질 것“이라며 ”향후 자유롭게 휘어지는 ‘플렉서블 메타물질’ 제작 방법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성과는 미국화학회가 발행하는 나노분야 국제학술지인 ‘응용재료 ... ...
“우리 힘으로 세계 비핵화에 기여를”
동아사이언스
l
2018.08.20
성공했다. IAEA-NWAL에서 사용하는 시료 분석기술은 모두 세 가지다. △전체 핵물질의
양
과 동위원소비를 분석하는 ‘총량분석’ △시료에 중성자를 쏜 뒤 입자의 변화를 통해 핵물질의 존재를 파악하고 재처리 여부를 알아내는 ‘열이온화질량분석(TF-TIMS)’ △세슘 등 물질을 시료에 쏴 후속 반응을 ... ...
[짬짜면 과학 교실] 아낌없이 주는 전지
2018.08.18
전지로 전구에 전류를 보낼 때에는 그 전지들을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따라 전기의
양
이 달라져 전구 빛의 밝기도 달라져요. 앞의 동시처럼, 전지를 (+)(-)(+)(-) 이렇게 열차처럼 일렬로 나열하는 방식을 ‘직렬연결’이라고 해요. 직렬(直列)의 한자는 곧을 직(直), 줄 렬(列)이에요. 그리고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17
300곳 이상 돌아다니며 설문 조사를 했다고 한다. 주민분들에게 제비의 포식자인 고
양
이가 얼마나 드나드는지 확인하고, 제비에 대한 인식을 물었다. 직접 발로 뛰는 연구가 힘들진 않았을까? “전혀요. 한 달 동안 일찍 일어나 여러 집을 다니니 오히려 건강해졌어요. 제비가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 ...
생체리듬 바꾸려면?...신경세포 2000개만 조절하면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4
강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4~10일 사이 생체시계 관련 유전자 발현량 등이 완전히 다른
양
상으로 변하는 것도 확인했다. 특정 생활 패턴을 약 1~2주간 유지하면, 몸이 새로운 생활 패턴에 스스로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헤르조그 교수는 논문에서 “VIP 신경세포의 활성화 정도는 생체리듬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RNA간섭, 20년 만에 의약품으로 결실 맺다!
2018.08.14
lipid nanoparticle)’ 안에 넣는 약물전달시스템이다. 즉 표면이 음전하인 RNA이중나선을
양
전하인 지질 분자로 감싼 뒤 이를 다시 표면처리된(인체의 면역반응을 피하기 위해) 지질로 감싸 지름 50~100나노미터 크기의 나노입자로 만든 것이다. RNA간섭 약물의 최대 걸림돌은 표적이 되는 세포까지 ... ...
공항이 변신한다...활주로가 도넛 모
양
? 미래형 공항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14
흐른다. 이때 위아래 부분에 발생한 기압 차로 인해 아래쪽 공기가 비행기를 들어올리는
양
력이 생긴다. - GIB 제공 *출처: 어린이 과학동아 15호(8월 1일 발행) '[특집] 공항의 변신' ... ...
[출동 기자단] 코딩로봇으로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라! 뚜루뚜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13
가속도를 이용한 ‘틸트 모션’ 같은 특별한 기술을 적용해 뚜루뚜루를 만들었어요. 다
양
한 방법으로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어 누구든 사용할 수 있지요. 더 많은 친구들이 뚜루뚜루로 재밌게 코딩을 배우면 좋겠어요! 기자단 친구들이 이은승 실장님과 인터뷰 하고 있다. *출처: 어린이과학동아 1 ... ...
수만명의 유전체 정보를 한곳에… ‘게놈 클라우드’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3
명의 연구자들이 연구자가 함께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이다. 보통 유전체 연구는 다
양
한 비교 데이터를 얻기 위해 여러 명의 연구자가 공동으로 수행한다. 2015년 ‘1000게놈 프로젝트’에 참여한 유럽생물정보학연구소, 미국 워싱턴대 등 국제 공동 연구진은 구글 지노믹스, AWS 등을 동원해 26개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상 분석 제대로?...강물
양
부터 제대로 알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8.08.11
환산하면 45%정도로 지표면 위 물이 기존 생각보다 1.5배가량 많은 것”이라며 “물의
양
이 당초 예측보다 더 많아진 만큼 이것이 우리 기상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다시 분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