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건축, 어디까지 왔나 「수직도시」초고층빌딩의 기술세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대책을 세우지 않을 경우 이 힘은 빌딩을 바닥에서 붕괴시키거나 그 축을 뒤틀리게 하여
조절
이 불가능할 정도로 진동이 심해 기울어지든가 두조각으로 파괴돼버리고 만다.구조공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초고층건물은 그 높이 자체보다는 종횡비(縦橫比), 즉 높이와 작은 변(폭)의 비율에 의해 ... ...
스트레스 해결의 손자병법 잘만 알면 극복쉬워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건강의 활력소가 된다는 사실도 알아야 한다.최근 정신의학에서는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조절
하고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극소화하기 위한 대책이 논의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최근 '스트레스 관리'라는 개념이 특히 강조되고 있다.스트레스 관리의 주요개념을 소개한다. 첫째 옆에서 스트레스를 바로 ... ...
'88노벨과학상 -업적과 프로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염색체(chromosome)라고 하는 대단히 정교한 '컴퓨터'가 들어 있다. 이것은 세포의 기능을
조절
하고 기능을 정상적으로 발휘하게 하는 것이다.이 '컴퓨터'속에는 마치 컴퓨터의 칩같은 기초재료가 있다. 핵산으로 구성된 DNA가 그것인데 정상적인 DNA는 세포생명에 매우 중요하다. 재료가 불량한 ... ...
하나의 신약이 나오기까지 0.01%의 가능성을 찾는 일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누군가가 종사하지 않으면 안된다.야심에 찬 젊은이들이 구슬 땀을 흘리며 '생명현상을
조절
하는 열쇠'의 창조에 몰두하는 모습을 곧 보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야심에 찬 젊은이여! 오라. 약의 세계로! 그리하여 인류의 질병퇴치와 건강증진에 기여할 신약을 연구하는 보람에 살아보자.아직 미흡한 ... ...
정수과정에서 생성되는 화합물 수도물 속의 발암물질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원수의 암모니아성 질소는 농도변화가 일정치 않아 염소를 잔류시키기 위한 투입량
조절
이 어렵다.그래서 유럽에서는 염소를 사용하지 않고 오존처리에 의한 정수방법을 쓰는 나라가 많다. 오존처리는 냄새와 생성물질을 입상활성탄(粒狀活性炭)으로 제거하고 염소는 마지막단계에 농도가 낮게 ... ...
인간과 동물의 기록비교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능숙한 수영을 하기 위해 그들은 물의 저항을 이길 수 있는 추진체제를 갖추고, 부력을
조절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수중생물이 가장 널리 사용하는 영법(泳法)은 물길을 물리적으로 가르면서 그 힘으로 나가는 것. 여기에는 뱀장어류처럼 몸을 앞뒤로 꿈틀거리며 나가는 생물도 있고, 거북과 ... ...
호르몬 조작으로 지방적고 단백질많은 고기생간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받아왔다.이와는 달리 새로운 호르몬기술은 자연적이고 생존기간이 짧으며 성장을
조절
하는 체내물질에 의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또한 약간의 잔류 호르몬이 생길지라도 요리과정에서 파괴되거나 인체의 소화과정에서 불활성으로 바뀌어 버린다. 따라서 건강상 어떤 부작용도 ... ...
테임즈강의 거대한 홍수
조절
구조물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영국의 기술진이 총력을 기울여 세운것으로 무려 1천8백년동안은 큰 수리없이 홍수를
조절
할수 있을것으로 건설당시 예측되었다.그러나 해수면이 1년에 8밀리 정도씩 올라갈것으로 예상되면서 이 구조물도 21세기 중반에는 기능을 제대로 못할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따라서 정부측 기술자들은 ... ...
PART1 스포츠과학의 대상·목적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신체의 활동은 두뇌의 자동
조절
장치에 의해 지극히 자율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 몸 전체를 흐르고 있는 혈액의 순환 속도, 호흡의 횟수 등 주요 기능들을 우리 내부의 조건 변화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 ...
'제2지망'이 일생의 학문으로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될 것이다. 따라서 악기상현상들의 물리적 과정이 밝혀지게 되고 나아가 예측과
조절
이 가능해질 것으로 생각된다.또한 태풍의 진로변경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농작물 재배에 적합한 대기환경을 예측,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 한발을 예측하여 식량준비에 차질이 없게 할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