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의 사촌 행성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떨어진 곳에 있어요. 지구에서 보면 백조자리에 속해 있죠.케플러-452b는 지구와 닮은 점이 많아요. 지름이 약 2만km로, 지구의 1.6배 정도 크기예요. 또 지구가 태양을 돌듯이 케플러-452b는 ‘케플러-452’ 주변을 공전해요. 지구와 태양의 거리가 약 1억 5000만km인데, 케플러-452b와 케플러-452 둘 사이의 ... ...
- 출동! 일일 과학수사관 돈을 훔쳐간 범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그리고 종이 끝부분만 살짝 물에 담근 뒤, 서서히 종이를 적셨지요. 10분 정도 지나자 점 모양이던 검은색 잉크가 물을 따라 종이 위로 번져 올라갔어요. 이때 잉크가 번져서 생긴 띠의 색은 모두 달랐어요. 특히 맨 윗부분색은 각각 분홍색, 파란색, 노란색이었어요.이처럼 띠의 색이 다른 것은 펜을 ... ...
- [출동~! 섭섭박사가 간다!] 반짝반짝 금모래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작을 때만 녹을 수 있다. 제주도의 돌하르방을 본 적이 있지? 돌하르방에서 가장 특이한 점은 조각상 전체가 까맣고 곳곳에 구멍이 뚫려 있다는 거야. 그 이유는 돌하르방이 화성암의 일종인 현무암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란다.화성암은 지구 내부에 녹아 있던 마그마가 식어서 굳어진 돌을 말해. ... ...
- 도시의 매미 소리가 요란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시간이 지나면서 수도권에 말매미가 출현했고, 안동이나 전주와 같은 남쪽 지방에도 점차 나타나기 시작했지요. 그래서 제주도나 남쪽 지방은 잠실보다 몇 주가 지난 후에야 말매미를 볼 수 있었어요.참매미의 출현도 말매미의 출현과 비슷했어요. 먼저 수도권에서 나타난 뒤, 몇 주가 지난 후에야 ... ...
- [가상인터뷰] 사막의 더위를 이기는 사하라 은색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사막에 오더라도 사막에 돌아다니는 날 만나긴 힘들 거예요.넌 다른 개미들이랑 다른 점이 있다며? 친구들이 평소에 볼 수 있는 개미들과 생김새부터 달라요. 우리는 뜨거운 모래 위를 걸어다녀야 하기 때문에 다른 개미들보다 롱다리랍니다. 다리가 길어서 뜨거운 땅에서 4mm 정도 ... ...
- 침팬지도 익힌 음식을 좋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사람처럼 조리된 음식을 더 좋아하는 게 밝혀진 거예요.이처럼 우리와 사람들은 비슷한 점이 많아요. 가장 가까운 친척 동물이라 할 수 있죠. 그런데 나더러 사람들의 적이 되라뇨! 다른 데 가서 알아보세요 ... ...
- 이미지 보정, 이젠 바로 들통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조작했는지 알 수 있게 됐답니다. 컴퓨터로 사진을 보정하면 사진을 구성하는 작은 점인 픽셀이 부자연스러워지고, 이미지 압축과정에서 파일의 형태가 달라져요. 이 교수팀은 보정 후 달라진 사진의 특성을 알아내는 알고리즘을 개발해 프로그램을 만든 거죠.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어떤 조작 ... ...
- 게임 캐릭터들의 지구 침공! 픽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있다. 픽셀이란 바로 이 작은 사각형을 가리키는 말로, 이미지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인 점을 뜻한다.3D로 화려하게 재탄생한 게임 캐릭터들과 게임 고수 3인방의 전쟁은 과연 누구의 승리로 막을 내릴까요? 7월 16일 개봉할 영화 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꼭 협력의 본성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인류는 문명화하면서 폭력과 동종 살해에서 점점 멀어져 왔다. 문명 이후 대규모 전쟁과 학살 사건이 발생한 것은 사실이지만, 인구 대비 발생량은 오히려 급격히 줄어들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스티븐 핑커 교수의 저서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에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온실가스 감축안인 국가자발적감축목표(INDC)에서 설정한 기준이 나라별로 제각각인 점도 정확한 목표를 세우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번에 제출된 INDC를 살펴보면 절반은 과거에 배출한 온실가스 ‘절대량’을 기준으로, 절반은 미래의 ‘배출전망치(BAU)’를 기준으로 감축안을 제시했다. ... ...
이전3393403413423433443453463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