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지속
보전
기름종이
지탱
관리
보유
d라이브러리
"
유지
"(으)로 총 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커뮤니티는 집단의 원칙과 문화에 개인이 종속되는 모양새를 띤다. 하지만 커뮤니티가
유지
되는 조건은 이런 집단의 공동 목표가 아니라 개개인의 관심사와 심리가 집단 안에서 얼마나 인정받고 공유될 수 있는가에 있다.이런 이유에서 사이버 공간에서는 그 사람이 누구인가가 아니라 무엇에 관심 ... ...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과학자들을 보면 수면시간이 단순히 낭비 시간은 아닌 것이다.적당한 잠은 건강을
유지
하는데 필수적이다. 일본에서 발표된 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평균 수면시간은 성인 남자의 경우 7.5시간, 여자의 경우 7.1시간으로 조사됐다. 사망률이 가장 낮은 그룹은 남녀 모두 수면시간이 7시간이라고 답한 ... ...
허술한 혈액 공급망 긴급 진단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성분이 냉동보관돼 있는 대한적십자사 혈장분획센터의 창고. 이곳의 온도는 항상 영하로
유지
된다.02 냉동 혈장을 씻고 소독한 다음 녹인다.03 해동한 혈장을 큰 통에 넣고 원심분리해 의약품에 쓰일 성분을 분리한다.04 혈장 분획 공정으로 얻은 알부민 원액.05 혈장에서 분리한 성분을 품질관리부에 ... ...
티라노, 많이 먹고 일찍 죽었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18살 이후 성장 속도가 크게 떨어졌고 청소년기에 커진 몸이 죽을 때까지 거의 그대로
유지
됐다”고 설명했다.그러나 10대의 폭식은 대가가 컸다. 연구팀이 크고 작은 티라노 20여마리의 화석을 조사한 결과 가장 나이든 것이 28살에 불과했던 것이다. 이 화석은 미국 시카고 필즈박물관에 전시된 ... ...
② 금메달 제조기 '스포츠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들려 있어 피곤한 선수들이 마지막 30m에서도 자연스럽게 몸이 앞으로 밀려나가는 자세를
유지
하게 된다. 나이키가 개발한 신제품이다.육상 선수들이 입은 옷은 수영 선수처럼 팔이나 무릎 아래까지 덮지는 않지만 원피스 수영복처럼 상체와 하체를 꽉 쪼이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2000년 시드니 ... ...
생명체가 컴퓨터 속으로 들어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모이면 하나의 유기체가 된다. 각 구성요소들은 상호 복잡한 관계를 가지며 생명체를
유지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작은 단세포에만도 수천, 수만개의 성분과 반응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반복적이고 범위가 작은 기존의 분자생물학 연구만으로는 생명체의 기능과 구조를 밝히는데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때 개체 기초대사량이 보이는 편차(偏差)를 표시하는 지수(指數) 기초대사량은 생명을
유지
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 대사량이며 성과 연령이 동일한 건강인의 기초대사량은 체표면적(體表面積)에 비례한다 동차좌표(同次座標)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평면 상의 일정한 삼각형 이 삼각형의 ... ...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부력이 같도록 맞춰야 한다. 이렇게 하면 물에 뜨거나 가라앉지 않는 중성부력 상태를
유지
하기 때문에 해저에서 작업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또 ROV에는 6백기압이라는 엄청난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ROV 내부 장비들이 쪼그라들지 않도록 특수 장치가 필요하다. 그래서 ROV의 모든 장비는 내부에 ... ...
당신의 주름살은 햇빛의 작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교수는 “피부연구는 그동안 여드름과 같은 ‘질환’ 중심이었지만 이제는 ‘젊음’을
유지
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말한다. 햇볕을 쬐고도 늙지 않게 하거나 햇빛으로 늙었던 피부를 다시 젊게 하는, 광노화 극복이 피부과학 연구의 주된 테마로 등장한 것이다.정 교수는 “나이가 들면서 ... ...
04. 남획 막아야 해양선진국 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출현했다. 하지만 이런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고 금어기나 산란장 등을 그대로
유지
해 결국 남획 위험이 높아졌다. 한국해양연구원 유재명 박사는 “아열대성 어류들의 생태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지역 어민들에게 적합한 어획방법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도 남획의 한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