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리안 위성, 우주로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4호
- 경기를 치르던 날 천리안 위성이 발사에 성공한 거예요! 이런 성공이 계속 이어진다면, 우리나라도 탐사 위성을 우주로 보내고 달에 기지를 건설하는 날도 곧 오겠죠? 우주과학의 꿈나무인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그 날의 주인공이 되길 기대할게요 ... ...
- 대칭 vs 비대칭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3호
-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 노틀담의 곱추로 유명한 프랑스 샤르트르 대성당, 그리고 우리나라 창덕궁…. 이와 같은 옛날 건물들 중에는 좌우대칭에 맞춰 지은 것들이 참 많아요. 예전에는 돌이나 벽돌 등을 쌓아서 건물을 지었어요. 지금처럼 벽을 만들기 전 철골을 세우지 않고 바로 벽을 쌓은 거죠. ... ...
- 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나갈 수 있을까. 태평양을 두 시간 만에 건너갈 수 있을까. 로봇처럼 힘센 군인아저씨가 우리나라를 지켜주는 날은 정말 현실로 다가올까. 수많은 질문에 답하기 위해 과학동아는 2010년 12월호, 300호를 통해 10년 후인 2020년의 과학기술을 엿보러 나섰다. 오랜 준비작업을 거친 후 2010년 10월 22일 ... ...
- 스크램제트 엔진과학동아 l2010년 12호
- 터보제트와 스크램제트 복합 엔진은 미국이, 로켓과 스크램제트 복합 엔진은 일본과 우리나라 등이 각각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20년 후 성능 시험을 마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미국 일본 경쟁 치열, 한국도 나서스크램제트 엔진 연구가 가장 앞서 있는 곳은 역시 ... ...
- Part 2. 과학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1960년대 북한의 김봉한 박사가 경락을 해부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세운 이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소광섭 서울대 물리학부 교수가 연구하고 있다. 소 교수는 흰쥐의 혈관 안에서 알 수 없는 봉오리와 관을 발견하고 이것이 경락이라는 또다른 순환계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관이 실제로 경락과 ... ...
- G20 정상회의 개최로 본 한국 과학기술 경쟁력은 몇위?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우리나라의 경제력이 그만큼 높아졌다는 뜻이다. 그런데 이렇게 경제가 발전하는 동안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경쟁력은 어느 정도 수준이 됐을까.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G20에 속한 나라의 과학기술 경쟁력을 비교해 봤다 ... ...
- 세계의 과학문화에 도전하라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매체를 인용하는 것처럼. 과학동아의 해외판도 가능하지 않을까. 미국과 일본의 잡지가 우리나라에서 발행되는 것처럼. 쉽게 말해서 과학동아가 중국어판과 베트남어판을 만들어 성공할 수는 없을까. 이런 질문은 매우 먼 일만은 아니다. 그것이 성공한다면 과학동아가 한국의 과학문화 진흥에 ...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우수공학연구센터(ERC)로 지정했다. 센터 이름은 ‘핵융합로공학 선행연구센터’. 우리나라가 실험장비와 기초 연구 모두에서 진정한 기반을 갖춘 것이다.핵융합과 플라스마 양쪽 인재 양성“저희 연구실은 ‘방목형’이에요. 무척 자유스럽죠. 제가 편한 걸 좋아하다 보니 학생들에게 일일이 ...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2호
- 하지만 석유 사고를 줄이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은 석유 사용량을 줄이는 거야. 우리나라는 석유가 전혀 나지 않지만, 2008년 기준으로 세계 10위의 석유 소비국이야. 우리가 쓰는 모든 석유가 바다를 통해 수입된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면, 석유 사고로 바다가 오염될 가능성은 늘 있는 셈이지 ... ...
- 우리나라를 아는 힘, 인구주택총조사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오차가 생기기 마련이다. 인구주택총조사의 오차를 줄이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우리나라는 사후조사를 실시한다. 12월 16일부터 23일까지 8일간, 전체의 1%를 표본으로 골라 다시 조사하는 방식이다 ... ...
이전339340341342343344345346347 다음